2월 '악성 미분양' 2만3722가구…지방에 80% 쏠려

황준익 2025. 3. 31.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규모가 한 달 전보다 3.7% 늘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국 2만3722가구로 전월 대비 3.7% 늘었다.

수도권 악성 미분양은 4543가구로 전월 대비 2.2%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부, 2월 주택통계 발표…미분양 주택 7만61가구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더팩트|황준익 기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규모가 한 달 전보다 3.7% 늘었다. 물량 대부분이 지방에 쏠렸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만7600가구로 10.9% 감소했고 지방은 5만2461가구로 0.8% 줄었다.

지역별로 미분양 주택은 경기(1만3950가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대구(9051가구) △경북(5881가구) △경남(5088가구) △충남(4921가구) △부산(4565가구) △울산(3811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면적별로 85㎡ 초과 미분양은 1만684가구로 전월 대비 1.8%, 85㎡ 이하는 5만9377가구로 전월 대비 3.8% 감소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국 2만3722가구로 전월 대비 3.7% 늘었다. 수도권 악성 미분양은 4543가구로 전월 대비 2.2% 증가했다. 지방은 4.1% 증가한 1만9179가구로 나타났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전월 대비 32.3% 늘었다. 지난달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거래량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수도권 매매거래는 2만4026건으로 전월 대비 34.6% 증가했으며 비수도권은 2만6672건으로 30.3% 늘었다. 특히 수도권 매매거래 중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4743건으로 전월 대비 46.7% 증가했다.

수도권 전월세 거래량은 17만6506건으로 전월 대비 35.4% 증가했다. 지방은 10만1732건으로 전월 대비 44.6% 늘었다.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2503가구로 전월 대비 44.3% 감소했고 주택 착공은 1만69가구로 1.1% 줄었다.

2월 분양은 5385가구로 전월 대비 27.6% 감소했다. 준공은 3만6184가구로 대비 13.3% 줄었다.

plusi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