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문자보다 빨랐다…산불 '인명 피해' 적었던 마을의 비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산불 대피 과정에서 '마을 순찰대'가 정상 가동됐던 곳은 인명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군 소속 마을 순찰대장과 시·군 안전 부서 및 읍·면·동장과 긴밀하게 산불 상황을 전파하고 신속히 주민을 대피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근 "25일 산불은 초고속이었기 때문에 대피 명령이 (기존) 마을 순찰대 매뉴얼과 맞지 않았다"라며 "이번 산불을 계기로 이상 기후 매뉴얼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 산불 대피 과정에서 ‘마을 순찰대’가 정상 가동됐던 곳은 인명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당국은 마을순찰대 대응 매뉴얼을 개선할 방침이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의성군에서는 이번 경북 산불 대피 과정에서의 사망자가 헬기 추락으로 목숨을 잃은 고(故) 박현우 기장을 제외하고 한 명으로 집계됐다.
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한 덕이다. 특히 재난안전문자 등을 통해 대피 명령이 발령되기도 전에 의성군 주민 2000여명은 마을순찰대 안내를 따라 대피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군 소속 마을 순찰대장과 시·군 안전 부서 및 읍·면·동장과 긴밀하게 산불 상황을 전파하고 신속히 주민을 대피시킨 것이다.
하지만 산불이 태풍급 속도로 번지며 현재의 마을순찰대 운영의 한계점도 드러났다. 산불이 초고속으로 동진하며 영양·영덕군 일대를 덮치자 마을순찰대는 활동 자체가 어려웠다. 단전과 함께 통신까지 두절되자 주민 등에 상황을 전파할 방법이 없었다. 특히 소규모 가구 수가 밀집한 청송·영양·영덕 마을에서는 순찰대가 정상 가동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근 "25일 산불은 초고속이었기 때문에 대피 명령이 (기존) 마을 순찰대 매뉴얼과 맞지 않았다"라며 "이번 산불을 계기로 이상 기후 매뉴얼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작 '인조이' 출시 40분 만에 '대박'…크래프톤 개미 '활짝' [종목+]
- 이러다 집에 부엌 사라지겠네…불황에 더 강한 '급식 대가' [최종석의 차트 밖은 유럽]
- 한예슬에 "나잇값 좀 하자" 댓글 달았다가…벌금형→무죄
- '순대 6조각에 2만5000원?' 제주 벚꽃축제 바가지 논란
- "비빔밥 먹고 뇌졸중 증상이 왔다는데"…자영업자 '황당'
- "산다고 해도 매물이 없어요"…일주일 만에 분위기 '돌변'
- "진짜 미쳤다" 아이돌 '10억 기부'에…놀라운 일 벌어졌다 [연계소문]
- 사흘간 80% 폭등했는데…"폭탄 언제 터질지 몰라" 경고 [종목+]
- '역대급 호재' 안고 재건축 기대감에 들썩이는 동네, 어디길래
- 이러다 집에 부엌 사라지겠네…불황에 더 강한 '급식 대가' [최종석의 차트 밖은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