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손잡이 꼭 잡은 채 발견된 숨진 독거노인...산불 현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형 산불과 같은 재난 속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지자체 관심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경찰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7시쯤 의성군 단촌면의 주택에서 80대 남성 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그러던 중 A씨 전화기의 신호음이 나지않고 뚝 끊겨 그의 집을 방문했다.
발견 당시 A씨는 마치 살려고 하는 듯한 모습으로 문 손잡이를 두 손으로 꼭 잡고 있었다고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피하겠다" 응답...다음날 연락 안 돼
문 손잡이 잡은 채 발견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대형 산불과 같은 재난 속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지자체 관심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5일 초속 27m의 강풍이 불어오자 화마가 곧 들이닥칠 것을 우려해 주민들은 긴급하게 대피했다.
의성군 직원들은 독거노인들에게 전화를 걸어 “피신하라”고 재촉했다. A씨 또한 전화를 받았고 “대피하겠다”고 답했다.
다음날 주불이 진화됐다는 발표가 났고 직원은 독거노인들이 잘 피신했는지 확인 전화를 돌렸다. 그러던 중 A씨 전화기의 신호음이 나지않고 뚝 끊겨 그의 집을 방문했다.
직원은 “아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갔는데 숨진 채로 발견돼 경찰에 인계했다”고 말했다.
발견 당시 A씨는 마치 살려고 하는 듯한 모습으로 문 손잡이를 두 손으로 꼭 잡고 있었다고 한다.
타지역에서 10여넌 전 단촌면으로 들어온 A씨는 평소 대인기피증이 심해 이웃주민과 교류가 없었다고 한다. 직원과의 연락도 불편해했다.
경북대 노진철 사회학과 교수는 “현재보다 더 촘촘한 사회 서비스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사회와 단절된 고립 주민 등 예외적인 경우 특별한 배려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많은 지자체에서 독거노인을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익산소방서, 화성소방서 등은 주택용 소방시설을 직접 설치하고 생활에 필요한 물품 전달과 주변 환경을 정리했다.
홍수현 (soo0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금이 구매 적기"…트럼프 관세 때리기 전 분주한 車업계
- 산불현장서 복귀하던 경기도 소방관들, 고속도로서 교통사고
- “지드래곤 선물 센스 있어” 콘서트장 인근 주민들 인증…뭐기에
- “난 사실 여장 남자”…3500만 中 먹방계 ‘쯔양’의 정체
- 고객 폰 잃어버리자 비행기 회항한 항공사 사연은
- “사랑해요 여보”…헬기 추락 기장이 남긴 마지막 말
- “주꾸미로 ‘촉감놀이’를?”…횟집 앞 부모의 황당 행동
- “한국인 오지마” 日 신사서 흡연·성추행…서경덕 한탄
- 미얀마 강진 이틀째…외교부 "한국인 인명피해 접수 없어"
- 600억 제작비 '폭싹 속았수다' 미술감독 "화산석 하나하나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