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정당, 사기 탄핵`이란 尹측 "마은혁 임명 불필요…조속 복귀하면 돼"

한기호 2025. 3. 28. 15: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리인단 엿새 만 입장 "巨野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조속 임명 전방위 압박"
"원하는 결론 내놓으라 위헌적 협박…국회는 헌재 구성 참여권, 대통령이 임명권"
"정당한 비상계엄을 내란 몰아…헌재 흔들지말고 사기탄핵 철회하라" 강변
지난 3월8일 12·3 비상계엄 내란수괴 혐의로 구속기소됐던 윤석열 대통령이 구속 취소가 확정된 뒤 서울구치소에서 나와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도착,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진>
지난 2024년 12월26일 국회 본회의에서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 선출안이 가결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올해 3월28일 현재도 임명되지 않은 상태다.<연합뉴스 사진>

12·3 비상계엄 사태로 탄핵심판 선고를 기다리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엿새 만에 침묵을 깨고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의 국회 선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요구에 반발하며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복귀만이 국정 혼란을 수습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의 정당한 헌법적 권한인 비상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고 헌정 질서를 흔들었다"고 강변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28일 입장문을 내 "거대야당이 마은혁 후보자의 조속한 임명을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다. 대통령을 탄핵하기 위해 자신들의 뜻에 따를 헌법재판관을 기어코 넣겠단 거다. 또 거대야당은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헌법재판소의 '존재 이유에 대한 근본적 회의'까지 거론하고 있다. 자신들이 원하는 결론을 내놓지 않을 경우, 헌법재판소 문을 닫겠단 명시적·위헌적인 협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리인단은 대통령 권한대행이 선출된 재판관을 즉시 임명해야 한다는 야당 주장에 "헌법 제111조 제2항은 '헌법재판소는 법관의 자격을 가진 9인의 재판관으로 구성하며, 재판관은 대통령이 임명한다'고, 3항은 '제2항의 재판관중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 3인은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자를 임명한다'고 규정한다"며 "국회에서 선출한 3인을 임명한다는 것이지 임명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게 아니다"고 맞섰다.

이어 "즉 헌재 구성에 대한 '참여권'과 대통령의 재판관 '임명권'은 별도의 독립된 권리"라며 "지난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소추 기각에서도, 헌법재판관 4인은 권한대행의 임명 거부는 헌재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목적 또는 의사가 아니었고, 재판관 임명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어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지적했다. 임명 보류가 위헌도 위법도 아니라는 김복형 재판관 의견도 강조했다.

대리인단은 "헌법재판관 임명이란 헌법상 의무에도 불구하고 여러 정치적 고려와 상당한 기간이 필요하단 게 헌재가 내린 결론"이라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에서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 탄핵심판 결정 이후까지 후임 헌법재판관 임명을 미룬 것도 이 때문"이라고 연결지었다. 또 헌재법 23조 1항상 '재판관 7명 이상 출석으로 사건을 심리'하게 돼 있어 "현재 헌재의 정상적 심리에도 어떠한 지장이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은 "그럼에도 거대야당은 헌재의 결정을 의도적으로 왜곡하여 무조건적인 즉시 임명을 요구하고 있다. 심지어 많은 국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 산불 재난까지도 헌법재판관 임명과 연계하는 파렴치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광화문) 불법 천막당사에서 철야 농성을 벌이며 '마은혁을 임명해야 산불 재난 지원에 협력하겠다'는 행태야말로 누가 진짜 내란 세력인지를 명백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전날(27일)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대규모 산불 피해지원 TF를 구성해 산불 진압과 이재민 지원, 피해 복구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겠다"며 "한덕수 대행 스스로 '헌재 결정을 존중하고 따라야 한다'고 말해놓고 마은혁 재판관 임명을 거부하는 건 명백한 모순이다. 적어도 금주 내 위헌 상태를 해소하고, 국가 재난 극복에 여야정이 힘을 모아 총력 대응해야한다"고 말한 것을 '조건부 재난 지원'처럼 해석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대리인단은 또 "'헌정 질서 파탄의 위기'를 불러온 장본인은 바로 거대야당이다. 애당초 헌법재판관 임명이 지연된 원인은 거대야당이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탄핵소추 후) 직무 정지를 장기화하기 위해 헌법재판관(국회 선출 몫 3명 공백 전) 임명 합의를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아울러 "작금의 산불재난 역시 재난예비비를 일방 삭감한 거대야당의 예산 폭거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산불 대응과 연결지었다.

대리인단은 "거대야당은 증거를 조작하고 증언을 오염시켜 대통령의 정당한 헌법적 권한인 비상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고 헌정질서를 흔들었다"면서 "거대야당이 지금 할 일은 헌재 흔들기가 아니라, 그동안의 헌정 질서 파괴 책동을 국민 앞에 사죄하고 사기 탄핵을 즉각 철회하는 것이다. 대통령 조속한 직무 복귀만이 국가비상사태를 해소하고 국정 혼란을 수습하는 유일한 길임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주장했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