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확산에 문화재 피해 늘어···통일신라 불상도 전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피해가 커진 가운데 국가유산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2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확인된 국가유산 피해 사례는 총 18건이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이나 종가가 소장해 온 유물 23건(1566점)을 옮긴 상태다.
이번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의성 고운사에 있던 보물 석조여래좌상은 이날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로 옮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피해가 커진 가운데 국가유산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2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확인된 국가유산 피해 사례는 총 18건이다. 전날 오후 집계한 것보다 3건 늘었다. 불길이 좀처럼 잦아들지 않았던 안동에서는 용담사 곳곳이 불에 탔다.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인 용담사 무량전의 부속 건물 1채가 전소됐고, 용담사에 소속된 암자인 금정암 화엄강당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다.
8세기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자 통일신라시대 불상을 연구할 때 귀중한 자료로 꼽히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도 전소됐다.
천연기념물 '영양 답곡리 만지송'은 현장 조사 결과, 나무 밑동과 가지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이나 종가가 소장해 온 유물 23건(1566점)을 옮긴 상태다.
이번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의성 고운사에 있던 보물 석조여래좌상은 이날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로 옮겼다. 불상과 광배(빛을 형상화한 장식물)만 해도 36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지은 기자 jea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언제 너 안고 잠들 수 있어' 김수현 문자 공개…유족 측 '故김새론, 당시 17세였다'
- '입시비리 혐의' 조민 '상처받은 분들께 죄송'…檢, '징역형 집유' 구형
- 집에 전기 끊었다고…관리비로 '동전 6000개' 납부한 中 여성 '황당'
- '집밥 그리울 때마다 먹었더니'…1초에 1.3개씩 팔린 '이 도시락' 뭐길래?
- '폐업했으니 선처해달라' 반찬 재사용한 업주…재판부, 벌금형 선고
- '당분간 생선 구이는 못 먹겠네'…고등어·갈치 가격 상승에 소비자들 '한숨'
- '두산 팬이면 당연히 먹어야지' 난리 난 '이 빵'…매출 1위 찍었다
- 자려고 했더니 귓가에서 '웽'…이른 더위 시작에 질병청 나섰다
- '샤넬? 비싸도 살 사람은 사니깐'…작년 한국서 매출 '1조8000억' 찍었다
- 한국지역민방협회, '자산총액 10조' 지상파 방송 '소유제한 규제 개선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