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생부터 남성보다 여성이…`고학력` 비율 더 높아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80년대생부터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이 남성을 추월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앞섰다.
특히 1990년부터 1994년생까지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13%p 이상 높았다.
또한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 진학 비율에서도 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생부터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이 남성을 추월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달 이런 내용의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1970년부터 1994년생까지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로 나눠 교육 수준, 고용, 자립 시기 등 지표를 분석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앞섰다.
1980년부터 1984년생 사이의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남성에서 69.4%, 여성에서 72.1%로 집계됐다. 1985년부터 1989년생까지의 경우 각각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다. 특히 1990년부터 1994년생까지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13%p 이상 높았다.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성별에 따른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중 차이가 점점 벌어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는 각 세대가 31∼35세일 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이며 다만 나이가 어린 1990∼1994년생은 26∼30세를 기준으로 했다. 또한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 진학 비율에서도 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취업 시기는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5∼29세인 시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975∼1979년생에서는 22.12세, 1980∼1984년생은 22.72세였으나 1985∼1989년생은 23.4세로 높아졌다. 1990∼1994년생은 23.36세로 비슷한 수준이 유지됐다.
청년 니트족으로 불리는, 일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청년 비율은 모든 세대에서 20세 이후 20% 이상을 기록했다. 공무원 시험 또는 기업 입사 준비를 하는 청년, 좋은 일자리를 찾는 중인 청년 등이 다수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
보고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률을 볼 때 20대 중후반에 수도권으로 이동이 증가하는 현상은 비수도권에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점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한 청년기의 주요 과업인 자립과 관련해,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의 비율은 최근 세대로 올수록 높아지는 추세지만 가장 최근 세대(1990∼1999년생)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발견됐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청소에 방해돼서"…50대 여성이 비둘기 11마리에 한 행동 `충격`
- 얼음 뒤덮인 호수 추락한 경비행기…일가족, 12시간 버텼는데 결국
- 처참하게 타버린 차량…`괴물 산불`에 고령자 참변 잇따라
- 목줄 묶인 채로 `벌벌`…대형 산불 속 홀로 남겨진 개들
- 단순 감기인줄 알았는데 돌연 사망…SNS 검색 1위 여성, 누구길래
- The DigitalTimes
- AI에 원본데이터 못 쓰는 韓… ‘익명정보’ 대안 떠올라
- 2035년 동물의약품 수출 1조5천억원으로
- 미국發 관세폭탄…K배터리, 미국 현지화 `가속페달`
- 상법개정에 원장직 걸었던 이복현 `사의표명`…권성동 "짐 싸서 떠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