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서빙·물류 로봇, 무선충전기 구매 후 바로 사용…인증 기준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상업·산업용 로봇 활성화를 위해 무선충전 인증 기준이 낮아진다.
배달·서빙 로봇 등을 사용하는 소상공인은 무선충전기를 설치할 경우 최대 24일에 걸쳐 설치 장소마다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불편을 겪지 않고, 제조사에서 적합성평가 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업·산업용 로봇 활성화를 위해 무선충전 인증 기준이 낮아진다. 기존에는 별도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인증 제품을 구매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업·산업용 로봇 등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기기의 무선충전기 인증 기준을 기존 50W 이하에서 1㎾ 이하 제품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제도개선을 2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배달·서빙 로봇 등을 사용하는 소상공인은 무선충전기를 설치할 경우 최대 24일에 걸쳐 설치 장소마다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불편을 겪지 않고, 제조사에서 적합성평가 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50W 초과 무선충전기는 사용자가 설치 장소마다 별도로 허가를 받아야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 고시개정으로 1㎾ 이하 무선충전기는 인증 제품을 구매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9월부터 산업계 요청을 반영해 전문가들과 함께 무선충전기의 전자파적합성 시험 기준, 안전성 검증 방법 등을 검토하고, 1㎾ 이하 무선충전기의 적합성평가 인증 기준을 마련했다.
무선충전기는 유선충전기에 비해 누전, 감전 위험이 적고, 먼지, 누수 등으로 인한 고장 위험이 낮아 배달·서빙 로봇 등을 사용하는 식당, 카페 등 상업시설이나 스마트팩토리, 물류창고 등 물류 로봇을 사용하는 산업 환경에서 활용도가 높다. 충전관리의 어려움이 있던 해상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산불 및 산림 감시용 드론, 치안 및 안전용 드론 등의 이용 기반도 개선돼 안전·안보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규제개선으로 국내 무선충전기술이 이동전화, 무선제품 등 일반 기기에서 로봇, 드론, 전기차 등 고출력 기기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됐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시장 활성화를 가로막는 애로사항을 선제적으로 해소해 ICT 산업 활성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관련 기술의 개발과 확산이 이어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청소에 방해돼서"…50대 여성이 비둘기 11마리에 한 행동 `충격`
- 얼음 뒤덮인 호수 추락한 경비행기…일가족, 12시간 버텼는데 결국
- 처참하게 타버린 차량…`괴물 산불`에 고령자 참변 잇따라
- 목줄 묶인 채로 `벌벌`…대형 산불 속 홀로 남겨진 개들
- 단순 감기인줄 알았는데 돌연 사망…SNS 검색 1위 여성, 누구길래
- The DigitalTimes
- 토허제 실책이 `풍선` 눌렀다…`마강성` 신고가 릴레이
- AI에 원본데이터 못 쓰는 韓… ‘익명정보’ 대안 떠올라
- 2035년 동물의약품 수출 1조5천억원으로
- 미국發 관세폭탄…K배터리, 미국 현지화 `가속페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