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태원 ‘초불확실성의 시대’ 우려, 민관정 ‘원팀’ 이루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재계에서 한국경제 위기를 알리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어제 "불확실성이 너무 커져 기업들이 결정하기 어려워졌다"며 "'초불확실성의 시대'가 가장 큰 적"이라고 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4월 BSI가 88로 역대 최장인 37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최 회장의 지적처럼 미국과 중국까지 정부와 기업이 뭉쳐 총력을 다하는 판에 우리처럼 기업에만 맡겨서는 안 될 일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지표에서도 위기징후가 가득하다. 당장 오랜 내수침체에다 수출까지 비상등이 켜졌다. 1∼2월 누적 수출은 1016억 달러로 1년 전보다 4.8% 줄었는데 대미, 대중 수출도 4.3%, 8% 감소했다. 미국발 관세전쟁이 불붙기 전인데도 이 정도다. 한국경제인협회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4월 BSI가 88로 역대 최장인 37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은행에서 돈을 빌렸다가 이자도 갚지 못하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도 작년 말 처음으로 3조원을 넘어섰다. 자영업자는 벼랑에 내몰린 지 오래다. 최근 5년 새 자영업자의 생존 기간이 평균 2.8년이었고 3명 중 1명은 창업 후 1년도 버티지 못한다고 한다.
이런데도 정치권은 반시장·반기업 정책과 규제를 쏟아내니 답답하기 짝이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얼마 전 경제계의 만류에도 상법 개정안을 강행 처리했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주주까지 확대한 것인데 기업이 줄소송에 시달리고 경영의욕까지 꺾을 소지가 다분하다. 이도 모자라 거야는 반도체 연구 인력에 한정한 ‘주 52시간 적용 예외’를 막더니 노조의 불법파업을 조장하는 ‘노란봉투법’까지 재발의했다. 한결같이 기업 하기 힘든 나라를 만드는 악법이다. 이러다 기업이 망가지고 일자리도 사라지는 게 아닌지 걱정이다.
작금의 위기는 민관정이 힘과 지혜를 다 모아야 극복이 가능하다. 최 회장의 지적처럼 미국과 중국까지 정부와 기업이 뭉쳐 총력을 다하는 판에 우리처럼 기업에만 맡겨서는 안 될 일이다.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 수명을 다해가는 수출 주도형 모델을 넘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성장전략을 짜고 AI 등 첨단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정치권도 기업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경제와 민생 살리기에 힘을 보태기 바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연애 10일 만에 결혼·11년 만에 강제 이혼…두 아들맘 강성연 “사랑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 “기성용한테 성폭력당했다” 폭로하더니…2억대 항소심도 패소
- 첫사랑 남편과는 이혼·아들은 사망설…국민배우 고두심 “세상 모든 슬픔 다 짊어진 것 같아”
- “아침에 씻을 거니까” 샤워 안 하고 그냥 잤다간…의사들의 경고 나왔다
- 낙상 아니었다…국민 MC 故 송해, 뒤늦게 밝혀진 사망 원인
- ‘200억 현금 부자’ 성동일, 밑바닥 딛고 이룬 빚 없는 인생
- “입사 3년 됐는데 희망퇴직 하래요”… ‘이 회사’ 경영난 어느 정도길래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