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헬기 가동 일시 중단에도
진화 어려워 2시간 만에 재가동
30년 노후 헬기 원인 가능성
국산화 등 시스템 개선 나서야
![26일 오후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야산에 산불진화용 헬기가 추락해 당국이 사고 수습을 하고 있다. 헬기 조종사는 사고 현장에서 사망 한 채 발견됐다. 2025.3.26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26/rcv.YNA.20250326.PYH2025032616010005300_P1.jpg)
경북 북부 지역에서 산불 진화 작업이 장기화하며 소방대원의 사상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26일 산불이 닷새째 확산한 경북 의성에선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중이던 헬기 1대가 추락해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헬기가 운용한 지 30년에 육박하는 노후 기종으로 확인되면서 소방 장비 노후화에 대한 소홀한 대비가 사고를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의성 신평면 산림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던 헬기 1대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시 목격자에 따르면 헬기는 소화용수를 담는 작업 중에 전신주 선에 걸려 추락했다. 이 사고로 당시 헬기를 몰던 기장 박 모씨(73)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헬기에는 박씨 홀로 탑승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산림청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헬기 조종사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전국 산불 발생 현장에 투입됐던 진화 헬기의 운항을 일시 중단했다. 그러나 산불 발생 지역 대부분이 차나 도보로 접근하기 어려워 산불 확산세를 막지 못하면서 의성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사고 발생 후 약 2시간 만에 헬기 가동을 재개했다.
사고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산불 진화용 헬기의 노후화가 문제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산불 진화용 헬기의 노후화, 정비 문제는 매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지적돼 왔던 만큼 이번 사고 원인 규명 과정에서 최대 쟁점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불 진화용 헬기는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운용하고 있다. 산림청은 자체 보유 헬기를, 지자체는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를 쓴다.
![경남 산청군 지역 산불 발생 엿새째인 26일 오후 산청군 시천면 일대에서 진화 헬기가 진화작업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날 낮 12시 51분께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야산에 헬기가 추락한 직후 전국 산불 현장에 투입한 진화 헬기의 운행을 잠정 중단했었다. 2025.3.26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26/rcv.YNA.20250326.PYH2025032624620005200_P1.jpg)
지난해 국감에서 공개된 산림청 보유 헬기는 총 48대로, 이 중 기체 나이가 20년을 넘은 헬기가 33대(68.8%)로 집계됐다. 통상적으로 지자체 임차 헬기는 산림청 보유 헬기보다 기체 연한이 더 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추락한 헬기도 강원 인제에서 임차한 기종으로, 1995년 7월 생산된 이후 약 30년간 운용된 S-76B로 확인됐다.
부품 부족 등으로 인한 헬기 결함도 산불 진화용 헬기의 위험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작년 국감에서 공개된 산불 진화 헬기 결함으로 인한 작전 미수행 건은 2021년 21건, 2022년 26건, 2023년 23건, 지난해(1~9월) 12건 등 총 82건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최신 헬기 교체와 장비 국산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대형 산불에 무리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권보헌 극동대 항공운학관리학과장은 “헬기가 산불 위로 물을 뿌리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노후화된 기체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다”며 “최신 헬기를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 기술로 정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