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취형 콘텐츠 ‘언더피프틴’ 방송 철회하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여성단체연합·민주언론시민연합·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여성·언론·청소년·교육·문화·인권·노동 각 분야 129개 시민사회단체가 2025년 3월26일 오전 서울 중구 엠비엔(MBN) 본사 앞에서 모여 만 15살 이하 아동이 참여하는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언더피프틴' 방송 중단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제작사인 크레아스튜디오가 '여성 아동 착취'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제작·홍보 전면 중단 및 방송 제작분 완전 폐기에 동의할 것, 엠비엔이 방송 계획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든 어린이·청소년이 자기다움을 잃지 않고, 고유한 속도로 자라는 존재로 살아갈 수 있도록 더욱 세심한 관련 제도와 실천이 필요합니다. 엠비엔(MBN)이 지난 21일 사회 각계의 의결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한 말을 기억합니다. 엠비엔(MBN)이 (언더피프틴을) 방영하지 않도록 결정할 것을 촉구합니다.”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스쿨미투 대응팀장)
한국여성단체연합·민주언론시민연합·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여성·언론·청소년·교육·문화·인권·노동 각 분야 129개 시민사회단체가 2025년 3월26일 오전 서울 중구 엠비엔(MBN) 본사 앞에서 모여 만 15살 이하 아동이 참여하는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언더피프틴’ 방송 중단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제작사인 크레아스튜디오가 ‘여성 아동 착취’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제작·홍보 전면 중단 및 방송 제작분 완전 폐기에 동의할 것, 엠비엔이 방송 계획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와 여성가족부가 아동·청소년 대상 오디션·연예 콘텐츠에 대한 기준을 수립하고 성적 대상화 및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3월31일 첫 방송을 예정한 ‘언더피프틴’(MBN)은 티저 영상 등이 공개된 이후 엑스 등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한국 아이돌 산업의 여성 아동 대상화 문제 등을 둘러싸고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크레아스튜디오는 3월25일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 강행 뜻을 고수하고 있다.
김지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위원장은 “저는 교사로서 15살 이전에 성공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꿈을 이루기 위해서 가혹한 기준에 자신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고, 오히려 맞서서 비판하고 저항하라고 청소년들에게 얘기해 주고 싶습니다. 그를 위해서 청소년들과 함께 계속해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사진· 글 이종근 선임기자 root2@hani.co.kr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