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대전의 모습을 본다'…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 공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이 26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첫 대전시청사는 1937년 건축된 대전의 근대 건축물이지만,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면서 철거 위기에 처했었으나 이후 민선 8기에 들어 시가 적극적인 매입과 보존을 결정함에 따라 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원형 복원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축 당시의 기둥과 보, 벽체, 원형창과 궁륭형 우물반자 등 확인
[더팩트ㅣ대전=정예준 기자] 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이 26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첫 대전시청사는 1937년 건축된 대전의 근대 건축물이지만,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면서 철거 위기에 처했었으나 이후 민선 8기에 들어 시가 적극적인 매입과 보존을 결정함에 따라 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원형 복원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날 공개는 1차적으로 진행된 해체 공사의 성과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오랜 세월 다른 여러 용도로 사용되어 오면서 덧대어진 내부 마감재들과 각종 설비 등을 해체‧철거해 건축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시는 이번 해체 공사를 통해 1937년 건축 당시의 기둥과 보, 벽체 등의 구조부재는 물론 원형창의 위치와 천장 몰딩, 궁륭형 우물반자 등 장식적인 부분 또한 상당 부분 원형이 남아 있음을 확인했다.
또 일부 훼손이 되긴 했지만, 화장실과 영사실 계단 등 예전의 흔적들 또한 다수 찾아내, 향후 성공적인 원형복원 사업의 가능성을 높였다.
다만 최초의 건축도면은 이미 분실돼 대전시는 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문서에서 찾아낸 대구공회당(1931년)과 군산공회당(1934년) 건축도면을 토대로 현재의 구조와 흔적들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이 방식으로 최대한 정밀한 복원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공회당으로 출발한 첫시청사 건물은 대전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은 건물인 동시에, 일제강점기 지방 공회당 건물 중 유일하게 보존된 사례로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건축유산"이라며 "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시민 모두가 자부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는 대전의 대표공간으로 활용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오는 4월 4일과 5일 이틀간 일반 시민들 대상 공개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5월에는 국내와 해외의 저명한 건축사가들을 초청해 첫대전시청사의 보존과 활용을 주제로한 학술대회 또한 가질 계획이다.
건축물의 구체적인 활용안은 5월 건축기획용역 완료 후 청사진이 나올 예정으로 용역 완료 전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 또한 계획돼 있다.
tfcc202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선거법 2심' 디데이…정국·대선구도 중대 분기점 - 정치 | 기사 - 더팩트
-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 코앞… 韓? 尹? 결정권자도 변수 - 정치 | 기사 - 더팩트
- 지난주 '재도약' 외쳤는데…한종희 별세에 삼성 '리더십 공백' - 경제 | 기사 - 더팩트
- [토허제 후폭풍③]"우리는 오르겠죠?"…마포·강동 '풍선효과' 조짐 - 경제 | 기사 - 더팩트
- 거세지는 중국車 바람…'럭셔리' 지커, 한국서 통할까 - 경제 | 기사 - 더팩트
- [오늘의 날씨] 건조하고 강한 바람…오후 늦게 제주부터 비 - 생활/문화 | 기사 - 더팩트
- [TF인터뷰] 권대현 PD "추성훈 버킷리스트 '달 편도 行'…불가능" - 연예 | 기사 - 더팩트
- ['아는 노래'의 진심③] 송필근·나현영 "모르는 노래밖에 안 남을 때까지 할 것" - 연예 |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