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멀쩡한 건물에 빈 상가 수두룩”…정부, 3기 신도시 상가 공급 계획 재검토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3-26 15:19: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가 신도시와 공공주택지구의 상업용지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전국 상가 공실률이 10.21%에 이르러 빈 점포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상가 공급 기준이 과거에 설정되어 코로나19 이후 변화한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해 공급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있다.

국토부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3기 신도시의 상가 공급 조정과 함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가이드라인 수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국토부 ‘신도시 상업용지 공급·관리 방안’ 연구 용역
전국 상가 공실률 10%대
범죄 악용되고 도심 쇠퇴 가속
임대인 모집 현수막이 걸린 신도시 상가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임대인 모집 현수막이 걸린 신도시 상가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신도시와 공공주택지구에 공급하는 상업용지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이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현행 공공주택지구 상업용지 계획 기준을 유지한다면, 3기 신도시 내 상가의 과잉 공급에 따른 범죄 악용, 도심 쇠퇴 등의 사회 문제로도 연결될 수 있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상가 공실률은 최근 3년간 꾸준히 높아져 지난해 9%대를 벗어나 10.21%를 기록했다. 상가 면적이 모두 같다고 가정했을 때 10곳 중 1곳이 임차인 등 사용자를 구하지 못한 셈이다.

이에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은 최근 신도시 상업용지의 공급 및 관리 개선방안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이번 용역은 남양주 왕숙과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에 공급 예정인 상가 규모의 적정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최근 신도시의 상가 공급 자체는 감소하고 있으나 빈 점포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2024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상가 공실률은 2022년 9.35%에서 2023년 9.92%를 기록한 뒤 지난해 처음으로 두 자릿수( 10.1)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상가 공실 문제가 심화되고 있지만, 현재 3기 신도시의 상가 공급 기준은 2019년 공공주택지구의 상업용지 계획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6년 사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소비 트렌드가 오프라인으로 온라인으로 옮겨가며 빈 점포가 급증하는 등 상가 공급 계획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현재 3기 신도시의 상업용지 비율은 0.8%로 1기 신도시 4.5%, 2기 신도시 1.91%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1인당 상업시설 면적인 ‘원단위’ 면적의 경우 3기 신도시가 1인당 8.6㎡로, 1기 신도시(1인당 11.4㎡)보다는 낮지만 2기 신도시(1인당 7.9㎡) 대비로는 높다.

2기 신도시에서는 대규모 상가 공실 사태가 발생했다. 남양주 별내·김포 한강·파주 운정 등 2기 신도시에서는 한때 상가 공실률이 30%에 육박했다. 공공주택지구 계획 수립 당시 상가 이용률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상업용지 비중을 높인 점이 원인으로 진목됐다.

국토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공공주택지구 상업용지 계획이 적정한지 살펴본 뒤 3기 신도시 상가 공급을 조절할 예정이다. 또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택지 개발 규모가 300만㎡ 미만일 경우 1인당 6~8㎡을 적용하는 상업시설 연면적 원단위 기준을 조정하는 방안도 살펴본다.

아울러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상업시설 수요 추정 가이드라인 수립 등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 개정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상가 과잉공급 방지 등을 위해 주상복합건축물의 주거 외 비율을 하향 조정하는 대책도 살펴볼 방침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