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자금 적립기는 수익률, 인출기는 현금 확보 중점
인출기, 배당 수익 나는 ETF로
“은퇴 10년 전부터 현금 신경쓰고
해외 투자는 장기 수익 따져야”
은퇴 시점에 따라 투자 전략은 다르게 짜야 한다. 자금을 쌓아 가는 적립기 투자자는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종목을 고르는 게 좋다. 은퇴를 앞두고 있는 인출기 투자자는 현금 확보에 신경 써야 한다.
● 적립기는 성장성, 인출기는 배당 주목
은퇴 자금은 연금저축계좌, 개인형 퇴직연금(IRP),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계좌를 통해 운용할 수 있다. 연금저축계좌와 ISA는 위험 자산 투자 한도가 없지만 IRP와 DC형 퇴직연금계좌에서는 위험 자산에 최대 70%만 투자할 수 있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는 25일 은퇴 시점에 따른 ETF 투자 예시안을 제안했다. 적립기 투자자에게는 △TIGER 미국 S&P500 ETF 50% △TIGER 미국 S&P500 동일가중 ETF 10% △TIGER 차이나항셍테크 ETF 10% △TIGER 종합채권(AA― 이상)액티브 ETF 30%를 권했다.
김 대표는 “적립기 투자자는 수익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높은 미국에 관심을 갖고 미국 대표 지수인 S&P500 중심으로 투자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TIGER 미국S&P500 동일가중 ETF는 S&P500을 추종하되 종목별 비중을 0.2%로 동일하게 조정한 상품이다. 김 대표는 “애플 테슬라 같은 시가총액 상위 종목 비중이 1970년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S&P500을 구성하는 500개 종목에 고르게 투자해 시총 상위 종목들이 출렁일 때 충격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테크주를 포함시킨 건 중국 정부가 관련 기업을 적극 지원하는 데다 이들 기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인출기 투자자에게는 △TIGER 미국 S&P500 ETF 30%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30%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 TOP10 ETF 10% △TIGER CD 금리플러스액티브 ETF 10% △TIGER 종합채권(AA― 이상)액티브 ETF 20%를 제안했다. 배당을 통해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김 대표는 “은퇴를 5∼10년 정도 앞두고는 현금을 받는 상품에 투자하는 게 좋다. 다만 은퇴 후에도 현금을 계속 확보할 수 있다면 인출기 포트폴리오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ETF 투자는 은퇴를 10년가량 앞둔 경우에도 시작하는 게 낫다고 했다. 김 대표는 “S&P500에 10년간 투자한 경우 손실이 난 경우는 없었다. 10년이면 투자하기 충분한 시간이므로 매달 꾸준히 투자하는 게 좋다”고 했다. 그는 “적립기 투자자는 최대한 오래 투자하고, 인출기 투자자는 수익성보다는 원금을 유지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 “장기 수익률 눈여겨봐야”
올해부터 펀드 내 해외 주식 배당금에 세금 15%를 공제해 주던 혜택이 사라졌다. 이에 국내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가 적지 않다. 김 대표는 “투자자가 받는 혜택이 줄어든 건 맞지만 배당 수익에 대한 비과세 여부만 따지기보다 장기적인 수익률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2015년 1월부터 올 1월까지 10년간 미국배당다우존스 NTR 지수 상승률은 267.2%로, 같은 기간 국내 배당주에 투자하는 Fnguide 고배당 TR 지수 상승률 117%의 두 배가 넘는다. 미국배당다우존스 NTR 지수는 배당수익에 대한 세금 15%를 빼고 나머지 배당금을 재투자한 결과를 나타낸다. Fnguide 고배당 TR 지수는 배당금을 전액 재투자한 국내 고배당주 지수를 보여 준다.
김 대표는 “미국배당다우존스 지수는 배당의 지속 성장성을 갖춘 데다 기초 체력이 튼튼한 기업으로 구성돼 배당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장기 수익률도 높다”고 했다. 이어 “배당으로 100을 받던 게 85로 줄어 재투자 효과가 감소하긴 했지만 장기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총수익은 여전히 높다”면서 “게다가 ISA는 만기 때 펀드별로 14% 세액 공제를 받기 때문에 최종 분배금은 99가 된다. 미국 우량 배당 기업에 장기 투자하는 건 충분히 매력적인 투자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손효림 기자 arysso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산불, 세계유산 하회마을 위협… 청송 등 5개 교도소 3500명 대피
- [이진영 칼럼]탄핵 9전 9패, 尹 탄핵은 성공할까
- 尹선고 지연에 초조한 野, 韓-崔 탄핵카드로 “마은혁 임명” 압박
- 이재명 1심 유죄받은 “골프사진 조작” “국토부가 협박”, 2심서도 쟁점
- 트럼프 “현대차 훌륭” 3차례 언급… “인허가 문제땐 날 찾아오라”
- “尹 파면” 트랙터 시위, 경찰과 충돌… 尹지지자도 몰려 아수라장
- 싱크홀 공포 “내 출퇴근길은 괜찮나”
- [단독]올여름 더 덥다는데… 폭염 쉼터 등 지원 예산 3년째 동결
- 서울대 의대 학장단 “27일 복귀 마지막 기회, 더는 학생 보호 못해”
- 日 고교 교과서 ‘독도 영유권’ 또 억지… 정부 “시정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