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안동 교도소도 비상…수감자 3500여명 대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을 지나 청송까지 확산하면서 교정당국이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와 안동교도소 수용자를 대피시키기 위해 이감을 결정했다.
이송 대상은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안동교도소 수용자 800여 명, 청송군 진보면에 있는 경북북부교정시설 네 곳(경북북부제1·2·3교도소와 경북직업훈련교도소)의 수용자 2700여 명 등 3500여 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을 지나 청송까지 확산하면서 교정당국이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와 안동교도소 수용자를 대피시키기 위해 이감을 결정했다.
법무부는 25일 “안동 청송 등 경북 북부지역 산불 확산과 관련해 해당 지역 교정기관 수용자 이송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진행 과정은 현장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송 대상은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안동교도소 수용자 800여 명, 청송군 진보면에 있는 경북북부교정시설 네 곳(경북북부제1·2·3교도소와 경북직업훈련교도소)의 수용자 2700여 명 등 3500여 명이다.
법무부는 이들을 버스에 나눠 태워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으로 이송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구교정청 산하엔 대구교도소 부산교도소 창원교도소 포항교도소 경주교도소 진주교도소 등이 있다.
법조계와 교정당국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감옥 체제 이후 근대적 의미의 교도소·구치소로 바뀐 뒤 자연재해로 재소자 수천 명을 대규모로 이감하는 사례는 전례를 찾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5월 경남 밀양에서 산불이 나자 밀양구치소 재소자 380여 명이 신축돼 비어 있던 대구교도소로 긴급 이송됐다. 2020년 12월 서울동부구치소에 코로나19에 걸린 수용자가 늘어나 경북북부제2교도소로 400여 명이 이송되기도 했다.
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남에 살아야 200만원 준다고요?'…예비 산모의 '한숨'
- "투자하기 좋다" 입소문 퍼지더니…올해만 6500억 몰렸다
- '돈 벌 마지막 기회' 개미들 광클하더니…88% 폭락 '대참사'
- '기술 없이 돈 번다' 너도나도 뛰어들더니…'충격 실상'
- '1조8000억' 몰리더니…MZ 사로잡은 '무신사' 깜짝 결과
- 故 김수미 떠난 후 절친 김혜자가 문자 보냈더니…답장온 사연
- "앞으로 6600억 물어줘야"…개미도 기관도 '청천벽력' 소식 [종목+]
- "배민·쿠팡이츠 배달 안해요"…요즘 분위기 심상치 않다 [이슈+]
- 산불로 난리인데…소방헬기 향해 '샷' 날린 女골퍼
- "박보검 인터뷰도 취소됐어요"…삼청동 상인들 '망연자실'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