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러 매력 끄집어낸 서울시향, 국내 오케스트라 '벽'을 넘다[문화대상 이 작품]

장병호 2025. 3. 25. 0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향과 얍 판 츠베덴 음악감독은 지난 2월 20일과 21일 롯데콘서트홀에서 말러 교향곡 7번을 연주하며 말러 시리즈를 이어갔다.

특히 이번 공연은 말러 교향곡 중 가장 연주하기 까다롭다고 여겨지는 교향곡 7번이기 때문에 더욱 주목받았다.

서울시향은 말러 교향곡 7번을 연주하는데 가장 필요한 악장을 섭외해 성공적으로 공연을 이끈 셈이다.

그때 연주할 작품 중 하나가 말러 교향곡 7번이기에 어느 작품보다도 철저한 준비가 돼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사위원 리뷰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말러 교향곡 7번
유럽 연주자 합류로 완성도 높여
국내 실황연주 실패 역사 뒤집어

[허명현 음악 칼럼니스트] 서울시향과 얍 판 츠베덴 음악감독은 지난 2월 20일과 21일 롯데콘서트홀에서 말러 교향곡 7번을 연주하며 말러 시리즈를 이어갔다. 츠베덴과 함께하는 말러 시리즈는 서울시향의 야심 찬 프로젝트다. 츠베덴이 서울시향 음악감독으로 재임하는 5년 동안 말러 교향곡 전곡을 녹음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공연은 말러 교향곡 중 가장 연주하기 까다롭다고 여겨지는 교향곡 7번이기 때문에 더욱 주목받았다.

지난 2월 20~21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말러 교향곡 7번’ 공연의 한 장면. (사진=서울시향)
난이도가 높은 작품인 만큼 난항을 겪을 거라 예상했다. 막상 공연이 시작하니 분위기는 완전히 반전됐다. 츠베덴과 서울시향은 단순히 음을 연주하는 차원을 넘어 작품 곳곳에 숨겨진 매력을 끄집어내기 시작했다. 음반에서는 알 수 없었던 입체감과 오색찬란한 색깔이 콘서트홀을 가득 채웠다. 특히 1악장은 일류 유럽 오케스트라라 해도 믿을 만큼 앙상블 수준이 높았다. 츠베덴의 가장 큰 장기인 현악기를 다루는 능력이 절정에 달해 악장마다 말러가 원했을 만한 표현이 흘러나왔다. 마지막 악장에 이르러서 집중력의 밀도가 조금 낮아졌지만 전반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공연이었다.

이번 공연이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객원 악장으로 참여한 안톤 바라코프스키 덕분이었다.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악장인 바라코프스키는 지금 이 순간 누구보다도 말러 교향곡 7번의 전문가다.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은 최근 말러 교향곡 7번으로 아시아 투어를 진행했고 이 연주를 음반으로 만들기 위해 녹음작업까지 진행했다. 바라코스프키는 이 작품의 최전선에 있는 악장이다. 바라코프스키는 압도적인 개인 기량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를 어떻게 이끌어 나가야 하는지를 보여줬다. 음악의 흐름을 꿰뚫고 있었으며 가장 앞장서서 단원들을 리드하며 음악에 헌신했다. 서울시향은 말러 교향곡 7번을 연주하는데 가장 필요한 악장을 섭외해 성공적으로 공연을 이끈 셈이다. 한편으론 현재 악장이 공석인 서울시향에게 왜 훌륭한 악장이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시간이기도 했다.

지난 2월 20~21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말러 교향곡 7번’ 공연의 한 장면. (사진=서울시향)
츠베덴에게도 말러 교향곡 7번은 꼼꼼히 준비된 작품이었다. 츠베덴은 올해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말러 페스티벌’에 시카고 심포니와 참여한다. 그때 연주할 작품 중 하나가 말러 교향곡 7번이기에 어느 작품보다도 철저한 준비가 돼 있었다. 그 덕분에 지난 말러 공연보다 해석의 완결성이 한층 높았다.

물론 이 공연은 100% 서울시향 단원들로 구성해 이뤄낸 건 아니다. 약점으로 꼽힐만한 파트는 유럽의 주요 오케스트라 수석들로 대체했다. 전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꼽히는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에서만 2명의 연주자가 서울시향에 합류했다. 서울시향만의 힘으로 이뤄낸 성과는 아니다. 그럼에도 관객에게 훌륭한 연주를 선사했다면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있다.

말러 교향곡 7번은 지금까지 국내 오케스트라의 벽이었다. 말러 교향곡 7번은 실황으로 접할 기회도 아주 드물뿐더러 과거에 있었던 실황 연주마저도 실패의 역사였다. 시작과 동시에 1악장부터 주저앉는 연주를 관객은 수도 없이 봐왔다. 그러던 중 서울시향의 뛰어난 연주는 클래식 팬에게 희망을 주었다. 앞으로 이들이 만들어갈 말러 교향곡을 더욱 기대하게 한다.

지난 2월 20~21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2025 서울시향 얍 판 츠베덴의 말러 교향곡 7번’ 공연의 한 장면. (사진=서울시향)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