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도 "연대 의대 등 절반 복귀 확인"…대학 측 "학생들 요구 다 들어줬다"(종합2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1일 복귀 신청을 마감한 연세대·고려대·경북대 등 대학 의과대학 학생의 절반 가량이 복귀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정부가 제적에 대한 별도의 구제책이 없다는 점을 다시금 강조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연대 등 대다수 대학의 학생 절반 가량이 등록했으며 이날 연대 의대 학생 881명 중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398명에 대해서는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했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대 복귀율 절반 수준…학칙 따를 것"
"전남대·제주대·건양대 등도 데드라인 도래"
의총협 회장 "40개 의대 원칙 흔들림이 없다"
[세종=뉴시스]구무서 용윤신 기자 = 지난 21일 복귀 신청을 마감한 연세대·고려대·경북대 등 대학 의과대학 학생의 절반 가량이 복귀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정부가 제적에 대한 별도의 구제책이 없다는 점을 다시금 강조했다. 40개 의대 총장들도 학칙의 엄정 적용 원칙을 밝혔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국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가 여러 차례 원칙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학사유연화나 휴학 승인 조치를 해줄 것이라고 알고 있다고 들었다"며 "올해는 더이상 대규모 학사유연화를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경북대, 고려대, 연세대, 차의과대는 지난 21일까지 의대생들의 1학기 등록을 받았다. 일부 언론에서는 연대 등 대다수 대학의 학생 절반 가량이 등록했으며 이날 연대 의대 학생 881명 중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398명에 대해서는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연대는 28일 미등록자는 제적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는 지난 21일까지 등록을 한 뒤 26일까지 복학 원서를 제출해야 제적을 피할 수 있다. 전남대와 제주대는 이날까지 1학기 등록 신청을 받았고, 건양대의 수업 복귀 데드라인도 이날이었다.
김 국장은 "(학생 절반 등록 관련) 학교에서 수치를 받진 않았고 금요일(21일) 저녁에 제가 개인적으로 퍼센트(복귀비율)로 확인했을 때 대부분의 기사와 차이는 없었다"며 "별도 대책은 없고 학칙에 따른다"고 했다.
정부는 지난해에는 동맹휴학을 진행한 의대생들에 대한 특례를 만들어 각 대학이 제적하지 않도록 조치한 바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월 28일 기준 2024학년도 의대 재적생 1만9048명 중 1만7812명이 휴학한 가운데 미복학 제적인원은 5명에 그쳤다.
김 국장은 "교육이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이) 못 돌아온다고 하는데, 그럴수록 빨리 와야 한다"며 "의협(대한의사협회)이나 전공의들이 말하는 것처럼 2026학년도 미선발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김 국장은 "7500명 교육이 쉽다고는 말을 못한다"면서도 "2024학번과 2025학번 교육 질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어렵고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며 "돌아오면 교육부와 대학이 교육을 열심히 시키고 졸업 후 수련 과정도 잘 준비하겠다"고 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회장이자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장을 맡고 있는 양오봉 전북대 총장도 이날 교육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이같은 원칙을 강조했다.
양오봉 총장은 "지난주까지 40개 의대가 원칙대로 학칙을 적용한다는 걸 여러번 확인했다"며 "특히 거점국립대는 지난 금요일(21일) 회의를 해서 확고하게 확인을 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31일 정도에 의총협 회의를 다시 해서 추후 진행 상황을 논의할 것"이라며 "대학마다 학칙이 다르지만 원칙대로 함께 대응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호의 흔들림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양 총장은 "정부는 의대교육 선진화에 대폭 지원하고 (모집인원) 3058명 이야기를 하고, 추계위원회도 2027년에 따르겠다고 했기 때문에 의대생들이 요구한 건 사실 다 들어준 셈"이라며 "교육은 대학, 의대에 맡기고 학생은 공부에 집중하는 게 각자의 본분"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yony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여진, 불륜 루머에 전처 등판 "내가 아니라는데 말이 많아"
- 이민정, ♥이병헌 닮은 11살 아들 공개…훤칠한 키
- "김수현 믿고 합류, 후유증 상당"…'리얼' 여배우 발언 재조명
- 이시영, 이혼 발표 후 부은 얼굴 공개 "잠 못 잤다"
- 윤하 남편, 카이스트 출신 유튜버 과학쿠키였다…노래제목 재조명
- '14세 연하와 결혼' 배성재 "장모님과 11세 차이"
- 정동원 "57평 한강뷰 아파트 대출없이 20억에 구매"
- 최여진, 불륜 의혹 벗을까…'돌싱' 예비신랑♥ 공개
- '아빠 어디가' 윤후, ♥송지아에 고백 "너 좋아했나 봐"
- 이세영, 가슴 성형 후 A→E컵…속옷 입고 치명 섹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