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에 집 타면 어쩌지?…"창문에 '이것'부터 치워라" 경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조한 날씨 속 전국 곳곳에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산불 대처법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24일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산림청에 따르면 우선 산불을 목격했을 때 119와 112에 신속하게 신고해야 한다.
산불 진화작업 때 진화용수 수압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특히 날씨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 때는 산불 위험이 커 주의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조한 날씨 속 전국 곳곳에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산불 대처법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24일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산림청에 따르면 우선 산불을 목격했을 때 119와 112에 신속하게 신고해야 한다. 스마트폰 앱(애플리케이션) '스마트산림재난'으로는 산불 위치와 사진, 동영상을 첨부해 신고할 수 있다.
집 근처 산에서 불이 났다면 집 안 모든 창문과 문을 닫고 가스를 차단해야 한다. 커튼 등 불에 탈 수 있는 물건은 창문과 문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옮겨두는 것이 안전하다.
집 밖에 떨어진 불씨로 불이 붙을 가능성을 대비해 집 주변엔 충분히 물을 뿌려두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해서 스프링클러나 호스 물을 흐르는 상태로 둬선 안 된다. 산불 진화작업 때 진화용수 수압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산에 있는 중에 불이 났다면 산불이 확산하는 경로를 피해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계곡부는 피하고 가능하면 활엽수가 있는 구간을 따라 신속하게 하산해야 한다. 산에서 대피하지 못했다면 바람을 등지고 주변 낙엽, 가지 등을 제거한 뒤 엎드려 낮은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평소 산불을 예방하려면 산 가까운 곳에서 쓰레기 등을 소각해서는 안 되고 지정된 장소로만 출입해야 한다. 특히 날씨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 때는 산불 위험이 커 주의해야 한다.
집 주변도 안전하게 관리해두는 편이 좋다. 집 근처 지면에는 되도록 돌, 모래, 흙 등 불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창문 근처에는 큰 식물이나 덤불 대신 작고 수분 많은 식물을 가꾸는 것이 좋다. 또한 지붕, 테라스 등에 낙엽이나 작은 가지가 쌓이지 않게 주기적으로 정리해야 한다.
대피를 위해 차량 연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해두는 게 좋고 거동이 불편한 가족이 있다면 대피 때 도움이 되는 휠체어 등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안전하다.
양성희 기자 ya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송종국 딸' 송지아, 어려운 형편 언급…"엄마 보험도 깼다고 울어" - 머니투데이
- 재혼 앞둔 서정희 "두통으로 다 포기"…무슨 일? - 머니투데이
- 햄버거 팔아 '월 매출 1억' 대박 난 한민관…"개그맨이 돈 벌기 쉬웠다" - 머니투데이
- '57평 자가' 정동원 "JD1이 번 돈 다 써…파산할 수도" - 머니투데이
- '김수현 양다리' 해명한 서예지…8년 만에 예능 출연, "나오길 잘했다" - 머니투데이
- "아이유는 2억했는데, 손흥민은?"…'산불 기부 강요' 논란 - 머니투데이
- 강남 아파트서 흉기로 아내 살해…60대 남성 현행범 체포 - 머니투데이
- "싼 맛에 가입했는데 제 번호 없어지나요?" 소비자 '발 동동' - 머니투데이
- 3살에 입양된 김재중, 양엄마와 첫만남에…"나 버리지마" 뭉클 - 머니투데이
- "자식한테 맞았다" 80대 아버지 신고…30대 아들은 또 주먹질했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