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36, 412=47, 512=58, 612=?"… SNS 화제된 수학 퍼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학 마니아들 사이에선 정답을 찾는 것에서 나아가 답을 찾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인지를 두고 온라인 토론을 펼치기도 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23일(현지시간) '간단한 수학 퍼즐의 정답에 도달하는 방법에 수백명이 논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수학보다는 산수에 가까운 문제를 제시했다.
전통적인 수학 공식을 적용하면 답을 찾기 어려운 만큼 SNS에서 문제를 접한 사람들은 올바른 대답을 알아내기 위해 각자만의 해법을 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간단하면서도 간단하지 않은 수학 퍼즐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수학 마니아들 사이에선 정답을 찾는 것에서 나아가 답을 찾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인지를 두고 온라인 토론을 펼치기도 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23일(현지시간) '간단한 수학 퍼즐의 정답에 도달하는 방법에 수백명이 논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수학보다는 산수에 가까운 문제를 제시했다.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문제는 X(옛 트위터 )에서 화제가 된 두뇌 자극 문제다. 언뜻 보면 방정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존 수학 공식을 따르지 않는다.
전통적인 수학 공식을 적용하면 답을 찾기 어려운 만큼 SNS에서 문제를 접한 사람들은 올바른 대답을 알아내기 위해 각자만의 해법을 제시했다.
가장 인기 있는 답변은 '69'였고 수백 명의 사용자들이 같은 답변을 내놨다.
데일리메일은 이 같은 답변에 도달하는 방식을 설명했다. 먼저 첫 번째 숫자는 10의 자리가 된다. 1의 자리는 제시한 3개의 숫자를 모두 더하면 된다. '312'에서 첫 3은 10의 자리가 되고 '3+1+2'는 1의 자리를 차지한다. 3과 6을 결합해 '36'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612'도 첫 6은 10의 자리인 60, 1의 자리는 '6+1+2'인 9이기 때문에 69가 된다.
다른 답도 있다. 앞의 두 수인 6과 1을 더한 게 10의 자리, 마지막 숫자는 1의 자리다. 해결책이 '72'다. 다른 한 명은 대담하게 세 자리수를 모두 더한 '9'라고 쓰기도 했다.
이달들어 새로운 방정식도 나왔다.
"11+12=32, 12+13=52, 13+14=72라면, 15+16의 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이후 SNS에서 본 방정식을 본 사람들은 틀에서 벗어난 사고방식으로 해법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단순히 덧셈은 아니다.
가장 정답에 접근한 문제풀이는 다음과 같다. 덧셈을 한 뒤 그 수를 뒤집는 것.
따라서 '15+16'의 답은 31이 아닌 이를 뒤집은 13이다.
#SNS #수학퍼즐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 "남편에 죄송" 사과후 비난 쏟아져…왜?
- "돈만 받으면 괜찮은 걸까"..장제원, '성폭행' 고소한 비서 피해정황 글 나와
- "아버지가 범인"…양평 주택화재 40대 부부 사망사건 '공소권없음'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할 일 없으니…"
- '자연 임신'으로 10번째 아이 낳은 66세 여성
- 김수현 "소아성애자 프레임…김새론과 카톡 대화, 교묘히 편집"
- '14세 연하와 결혼' 배성재 "장모님과 11세 차이"
- '김수현 양다리' 해명한 서예지 "불어난 오해에 큰 스트레스"
- '아들만 다섯' 정주리 "여섯째 NO…남편 정관수술"
- 남편 전처랑 술친구…"집에서 자고 가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