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치료제 처방 4년 새 2.4배 증가…식욕억제제는 감소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처방이 최근 4년 사이 2.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는 약 33만8000명으로, 전년도(약 28만1000명)보다 40.4% 늘었다.
같은 기간 치료제의 처방량도 3770만9000정에서 9019만7000정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환자 수 증가와 함께 ADHD 약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처방이 최근 4년 사이 2.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의료용 마약류 중 하나인 식욕억제제는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였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는 약 33만8000명으로, 전년도(약 28만1000명)보다 40.4% 늘었다. 2020년 14만3000명에서 불과 4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치료제의 처방량도 3770만9000정에서 9019만7000정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환자 수 증가와 함께 ADHD 약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처방 환자의 연령을 보면 10대 이하가 전체의 45.3%(약 15만3000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 25.9%, 30대 17.1%, 40대 6.3%, 50대 2.3% 순이었다.
반면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식욕억제제 처방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는 약 110만1000명으로, 전년도 대비 약 4만3000명(3.8%) 감소했다. 2020년 130만9000명과 비교하면 15.9% 줄어든 수치다.
이는 삭센다, 위고비 등 중독성이 낮은 비만 치료제가 대체제로 인식되며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특히 ‘기적의 다이어트약’으로 불리는 위고비는 한 펜(4주 분량)에 37만2000원이 넘는 고가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식약처는 의료진이 환자의 투약 이력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기존 펜타닐 외에 ADHD 치료제와 식욕억제제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다음 달부터 논의할 계획이다. 또 오는 9월에는 식욕억제제의 수요 예측량을 바탕으로 제조·수입량을 사전에 조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의 생각은] 아파트 단지 옆에 상가 아닌 데이터센터? “전자파 피해” “보상금 달라”
- 장미향 ‘시트로넬롤’, 고농도 쓰면 신경·행동 장애 유발
- ‘5분 충전 400㎞ 주행’ BYD 배터리… 비용·수명 등에 의문
- “中 SMIC, 위장회사 설립해 대만 반도체 인력 빼돌려…11개사 적발”
- [명의를 찾아서] “류마티스, 난치병 아니다…표적 치료제로 관리 가능”
- 과자 먹을 아이들 수 줄었는데… 제과사들의 3색 생존법
- [재테크 레시피] “출산 예정이신가요?” 연 10% 이자에 대출금리도 깎아준다
- [정책 인사이트] 산불에 비행기로 3만L 내화제 뿌리는 미국 vs 헬기로 600L 물 뿌리는 한국
- [시승기] 유럽보다 2000만원 싼 볼보 전기 SUV ‘EX30′
- [르포] 날개 53m 수송기·한화 로켓車에 인파… 신무기 전시장 호주 에어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