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치료제 처방 4년 새 2.4배 증가…식욕억제제는 감소세

홍아름 기자 2025. 3. 23. 09: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처방이 최근 4년 사이 2.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는 약 33만8000명으로, 전년도(약 28만1000명)보다 40.4% 늘었다.

같은 기간 치료제의 처방량도 3770만9000정에서 9019만7000정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환자 수 증가와 함께 ADHD 약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의 한 약국./뉴스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처방이 최근 4년 사이 2.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의료용 마약류 중 하나인 식욕억제제는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였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는 약 33만8000명으로, 전년도(약 28만1000명)보다 40.4% 늘었다. 2020년 14만3000명에서 불과 4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치료제의 처방량도 3770만9000정에서 9019만7000정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환자 수 증가와 함께 ADHD 약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처방 환자의 연령을 보면 10대 이하가 전체의 45.3%(약 15만3000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 25.9%, 30대 17.1%, 40대 6.3%, 50대 2.3% 순이었다.

반면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식욕억제제 처방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는 약 110만1000명으로, 전년도 대비 약 4만3000명(3.8%) 감소했다. 2020년 130만9000명과 비교하면 15.9% 줄어든 수치다.

이는 삭센다, 위고비 등 중독성이 낮은 비만 치료제가 대체제로 인식되며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특히 ‘기적의 다이어트약’으로 불리는 위고비는 한 펜(4주 분량)에 37만2000원이 넘는 고가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식약처는 의료진이 환자의 투약 이력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기존 펜타닐 외에 ADHD 치료제와 식욕억제제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다음 달부터 논의할 계획이다. 또 오는 9월에는 식욕억제제의 수요 예측량을 바탕으로 제조·수입량을 사전에 조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