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파킨슨병 음성장애 치료하세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병원은 김한준(사진) 신경과 교수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자택에서 맞춤형 음성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앱 형태의 디지털 치료기기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디지털 치료기기는 병원 방문 없이 환자의 증상에 맞춘 음성 치료를 제공하며, 치료 후 음성·발음 장애의 유의미한 개선을 확인했다고 서울대병원은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0% 이상 이행률 기록…환자 만족도 높아
서울대병원은 김한준(사진) 신경과 교수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자택에서 맞춤형 음성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앱 형태의 디지털 치료기기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디지털 치료기기는 병원 방문 없이 환자의 증상에 맞춘 음성 치료를 제공하며, 치료 후 음성·발음 장애의 유의미한 개선을 확인했다고 서울대병원은 전했다.
파킨슨병은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동작의 느려짐, 근육의 경직, 손떨림 등과 함께 초기부터 목소리 변화와 발음 장애를 동반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의 75%가 병이 진행되면서 음성·발음 장애를 겪으며, 이는 환자의 의사소통과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초래한다. 특히 목소리가 작아지고 단조로워지며,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말의 속도 조절이 안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사회적 활동과 심리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파킨슨병 약물 치료로는 음성 장애가 호전되지 않으며, 전문적인 언어재활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지만 언어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고, 치료 비용과 병원 방문의 어려움이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팀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63%의 파킨슨병 환자가 원격 치료를 희망하며, 특히 원격 음성 치료를 원하는 환자가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올해 연구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파킨슨병 환자 중 75% 이상이 재활치료를 전혀 받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이 같은 현실은 원격 비약물 치료 서비스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지 않고 자택에서 음성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디지털 치료기기를 개발했다.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의 음성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맞는 훈련을 자동으로 제공하며, 훈련 내용은 호흡 훈련, 구강 운동, 목소리 크기 훈련, 높낮이 훈련, 말하기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9~11월 연구에 참여한 파킨슨병 음성 장애 환자 28명(평균 나이 68세, 유병 기간 7.5년)은 주 4일, 총 5주간의 치료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치료 순응도(이행률), 만족도, 주관적 목소리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 전후 음성 데이터의 음향학적 분석과 청지각적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환자 28명 중 20명은 90% 이상의 이행률을 보였으며, 4명은 70~90% 이행률을 기록하여 디지털 치료기기가 환자들에게 실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만족도 조사에서는 75%의 환자가 매우 만족하거나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불만족 응답자는 없었다. 또 58.3%의 환자가 주관적 목소리 개선을 보고했으며, 목소리가 악화된 환자는 없었다.
음향학적 분석에서는 치료 전후 최대 발음 시간이 11.15초에서 14.01초로 증가했으며, 음성 강도는 71.59㏈에서 73.81㏈로 증가하는 등 유의미한 개선이 있었다. 또 음성 품질을 평가하는 GRBAS 척도(호흡, 거칠음, 쉰 목소리, 목소리의 약화·긴장)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관찰됐다.
김 교수는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치료기기는 고령의 파킨슨병 환자들에게도 자택에서 쉽게 사용 가능하고, 치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입증했으며,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도 효과적인 음성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열 선임기자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수현, 광고 손절·예능 불발…“사진 무단 배포” 가세연·김새론 유족 고발
- “친구 모으면 60만원 준다” 전례없는 파격 ‘용돈벌이’…500만명 ‘우르르’ 몰렸다
- “고인에 죄송하다”며 ‘김새론 결혼·낙태설’ 주장한 유튜버
- ‘출소’ 황철순, 아내 사생활 폭로 “허구한 날 술자리·男과 파티”
- “이영애, 김건희와 친분있다” 주장 유튜버 벌금 700만원에 약식 기소
- 김부선, 김수현 언급하며…“살인자 만도 못한 연예인 인권”
- 46세 장영란 “조기치매 가능성”…충격 진단, 왜?
- “고작 10만원 먹으려 이 고생?” 강원래 사기 피해 고백
- “마약 했어요” 자수한 래퍼 식케이…검찰, 징역 3년6개월 구형
- ‘이혼 발표’ 이시영, 20일 명품 브랜드 포토콜 행사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