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코치가 심판 된 격"··· '공기업서 1100만원 자문료' 경평단장 논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87곳의 1년 농사를 평가하는 경영평가단 단장이 지난해 공공기관들로부터 1000만 원이 넘는 경영 평가 자문료를 받았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공기업 평가단장으로 임명된 A 교수는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공기업들에 경영 평가 전문가 조언을 해주고 자문료 1180만 원을 수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재부 "단장 전문성·리더십 중요해 차별화"
이해충돌 가능성 농후한데 제도 공백 방치
국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87곳의 1년 농사를 평가하는 경영평가단 단장이 지난해 공공기관들로부터 1000만 원이 넘는 경영 평가 자문료를 받았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한 팀으로 뛰던 코치가 심판으로 전직해 공정한 평가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공기업 평가단장으로 임명된 A 교수는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공기업들에 경영 평가 전문가 조언을 해주고 자문료 1180만 원을 수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단장 임명에 법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단장 임명에 대해서는 경제적 대가 수령에 대한 별도 지침이나 규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2023년 평가단 운영 규정 개선안을 마련해 평가 대상 기관으로부터 3년간 900만 원이 넘는 금품을 받은 인물은 평가위원으로 임명하지 못하도록 했지만 막상 평가단을 이끄는 단장에 대해서는 이 같은 제한을 두지 않았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관을 직접 접촉하는 위원들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고 있지만 단장은 전문성이나 리더십이 중요하고 위원들과는 역할이 달라 차별화를 두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장 선정 절차도 문제다. 평가위원들은 기재부 모집 공고를 통해 선발되지만 평가단장은 별도의 응모나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의결 없이 임명이 가능하다.
공공기관 관계자들은 단장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고 토로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단장은 기관을 직접 만나지 않더라도 위원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무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A 교수는 “평가단장은 운영 업무를 맡을 뿐 성과급 등과 관련된 개별 지표에 대한 업무는 수행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임 의원은 “공정한 평가단 구성이 중요하지만 현재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규제가 부실한 상황으로 보인다”며 “공공기관의 효율성과 책임경영을 유도할 수 있는 경영평가 제도를 확립할 수 있도록 ‘경영평가단 구성 및 운영 규정’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신원 기자 shin@sedaily.com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수현 실망스러워'…故 김새론 유족 '판도라 상자' 연다
- '따로 부업을 왜 해요? 이리 쉽게 돈 버는데'…194만명 몰린 서비스
- '3만9000원 입니다'…'세계에서 가장 더러운' 후지산 이제 돈 더 내고 간다고?
- '여자들한테 잘 보이려고'…단숨에 30억 번 美 고교생들 만든 '이것'
- '카드 배송왔어요' 믿었는데 알고보니 '보이스피싱'…'5500만원 뜯겼다'
- '여행 취소해야 하나' 벌써 5명 사망…홍역 확산에 '이 나라' 발칵
- '초봉 5000만원에 사택도 제공'…MZ 사로잡을 '대박 복지' 제공하는 회사
- '커피 안 끊어도 되겠네'…하루 중 '이 시간대'에 마시면 사망 위험 '뚝'
- 배드민턴 4개 국제 대회 석권 'GOAT' 안세영 '앞으로 보여드릴 게 더 많아'
- '삐약이' 신유빈, 탁구만 잘하는 게 아니었네…의료비 1억원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