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비용·효율·안정성 모두 잡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에 필요한 공정비용 절감과 고효율, 안정성을 모두 잡을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봉수 화학과 교수팀과 김동석·김진영 탄소중립대학원 교수, 이경구 국립군산대 교수팀이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자가조립 정공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지 효율 13% 개선·탁월한 광안정성 나타내
국내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에 필요한 공정비용 절감과 고효율, 안정성을 모두 잡을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봉수 화학과 교수팀과 김동석·김진영 탄소중립대학원 교수, 이경구 국립군산대 교수팀이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자가조립 정공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저렴한 소재와 공정 비용이 장점이다. 전지에 사용하는 자가조립단층(SAM, Self-Assembled Monolayer)은 광활성층인 페로브스카이트가 햇빛을 받아 만든 정공(양전하 입자)을 전극으로 전달하는 물질이다. SAM 정공수송층은 기판 위에서 스스로 조립하는 분자 특성을 이용해 만들기 때문에 기존 고분자 기반 정공수송층보다 공정 비용이 저렴하다.
공동 연구팀은 이 SAM을 구성하는 4PACz 분자보다 정공 수송 성능이 높은 분자 구조를 지닌 MeS-4PACz을 설계 개발했다. 이 물질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SAM 적용 태양전지보다 13% 이상 높은 25.16%의 광전 변환 효율을 나타냈다. 태양전지는 광생성 전자(음전하 입자)와 정공이 전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장치라서 전자와 정공이 전극으로 잘 이동하면 전지 효율이 높아진다.
태양전지 출력과 장기 안정성을 가늠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isis) 지표값도 기존 대비 월등히 높았다. 광안정성은 500시간 동안 강력한 태양광에 노출하는 실험에서 초기 효율의 93%를 유지했다. 기존 4PACz 적용 태양전지는 500시간 후 효율이 20% 이상 감소했다.
김봉수 교수는 “개발 SAM 물질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장점인 저렴한 공정 비용을 극대화하고 안정성과 효율도 높일 수 있어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여 줄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푸틴, 부분휴전 합의…"인프라·에너지 시설 공격 중단"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12단 샘플 공급
- 삼성SDI, 울산에 전고체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 추진
- “가자 휴전, 두달만에 끝”...이스라엘 공습에 900명 사상
- 최상목 “가용수단 총동원해 집값 상승 요인 차단”
- 이재명 “美 국방장관 순방에 한국 제외…정부, 안보 패싱 일상화”
- 구현모 전 KT 대표 “경영자의 제1덕목은 뾰족함”…'더 샤프니스' 책 출간
- AI 디지털교과서, 초등학교 채택률 중·고교보다 높아
- 서플러스글로벌, 이큐글로벌과 '세미콘 차이나 2025' 참가…반도체 장비·부품 솔루션 선봬
- '밥캣 중장비에 LG 배터리'…엔솔-두산 개발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