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오염 연구에 남은 공란들 [오철우의 과학풍경]

한겨레 2025. 3. 18. 17: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린 바닷새는 겉모습은 멀쩡해도 플라스틱 오염으로 만성질환을 앓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대학 연구진은 몸속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많이 발견된 어린 바다제비 18마리의 건강 상태를 살펴보니, 플라스틱으로 인해 영양실조와 만성질환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플라스틱에 많이 오염된 어린 바닷새들에서 위, 간, 콩팥의 건강이 좋지 않음을 알려주는 지표 단백질이 훨씬 많이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닷새의 몸속에 쌓인 플라스틱이 위, 간, 신장, 뇌를 비롯해 생체 전반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바닷새의 혈액 검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사진은 오스트레일리아 연구진이 플라스틱을 많이 섭취한 어린 바다제비들의 위에서 꺼낸 플라스틱 조각들. 어드리프트 랩(ADRIFT Lab) 홍보자료

오철우 | 한밭대 강사(과학기술학)

어린 바닷새는 겉모습은 멀쩡해도 플라스틱 오염으로 만성질환을 앓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대학 연구진은 몸속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많이 발견된 어린 바다제비 18마리의 건강 상태를 살펴보니, 플라스틱으로 인해 영양실조와 만성질환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혈액에 있는 건강 지표 단백질 725가지를 분석한 결과인데, 혈액 검사를 통한 정밀 건강 검진인 셈이다.

연구진은 플라스틱에 많이 오염된 어린 바닷새들에서 위, 간, 콩팥의 건강이 좋지 않음을 알려주는 지표 단백질이 훨씬 많이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더욱이 신경세포의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 단백질은 매우 적게 나타나, 어린 새들이 일종의 알츠하이머병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까지 겪고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 연구가 플라스틱이 체내에서 건강을 해친다는 직접 증거를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널리 쓰이는 단백질 분석 방법으로 플라스틱의 생체 영향을 좀 더 분명하게 보여준 점에서 진전된 연구로 평가됐다.

이처럼 플라스틱의 건강 영향에 관한 연구가 늘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플라스틱과 건강 연구가 이제 한 단계 더 엄격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세플라스틱이 심장, 폐, 간, 태반, 모유를 비롯해 몸 곳곳에서 발견됐다는 보고가 잇따르지만, 개중에는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연구방법을 사용해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일부 과학자들은 최근 네이처에 글을 실어 플라스틱과 건강 연구에 엄격한 절차가 마련될 때라고 주장했다.

이들의 지적을 보면, 플라스틱과 건강 연구는 늘어났지만 제각기 이뤄지는 연구 중 일부는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 채 의문을 남기기도 한다. 많은 연구가 적은 수의 표본에 의존해 이뤄지며, 자주 쓰는 질량분석법 같은 방법에는 미세플라스틱만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한다. 필요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플라스틱 조각이 혈액에서 발견됐다는 보고도 있었지만 그 조각이 어떻게 혈관 장벽을 통과했는지는 설명할 수 없었다. 뇌에서 발견됐다는 미세플라스틱이 보통 약물 분자도 지나가지 못하는 뇌 장벽을 어떻게 통과했는지는 여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이들은 현대 실험실 자체가 플라스틱에 둘러싸여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험 과정에서 표본이 실험실의 플라스틱 환경에 오염될 가능성이 전혀 없음을 확실히 입증해야 하지만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한 생물학 실험실은 실험 단계 하나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양을 기록해봤더니 많게는 수십킬로그램으로 추산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엄격한 연구 표준을 제안하는 연구자들이 플라스틱 오염이 알려진 것보다 덜 심각하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 이들은 “플라스틱의 환경 오염은 만연하고 건강에 직접 해를 끼칠 수 있다”며 “하지만 플라스틱과 건강의 연관성은 이제 견고한 과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규제 정책과 기준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면 이제는 한 단계 더 엄격하고 투명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