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학수의 골프 오디세이 <218> PGA투어 다이어리, 난공불락의 세계 1위 셰플러] 액땜한 셰플러 “최고와 끝까지 경쟁하는 기쁨 다시 느껴”

민학수 조선일보 스포츠전문기자 2025. 3. 17. 13: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후 인터뷰하고 있는 스코티 셰플러/ PGA투어

세계 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미국)는 2024년 PGA투어 19개 대회에 출전해 7승을 거두었다. 파리 올림픽 금메달과 페덱스컵 트로피(우승 보너스 1700만달러)를 차지하며 PGA투어 동료 선수가 뽑는 ‘올해의 선수상(잭 니클라우스 어워드)’을 3년 연속 받았다. 회원 투표에서 91%의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지난해 메이저 대회 2승(PGA챔피언십·디오픈)을 거둔 세계 2위 잰더 쇼플리(미국)와 간판 스타 중 한 명인 세계 3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를 큰 차이로 따돌렸다. 올해의 선수상 3연패는 타이거 우즈(미국)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연패,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연패를 달성한 이후 처음이다.

이런 셰플러가 지난 연말 큰 ‘액땜’을 했다. 크리스마스 파티 준비를 하다가 와인 잔을 깨뜨려 손을 다쳐 수술받았다. 그 사고로 시즌 개막전 더 센트리와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 애초 출전하려던 두 개 대회를 건너뛰어야 했다. “바보짓을 했다는 생각에 나 자신에게 화가 났다”고 한다.

셰플러는 “가족과 함께 직접 라비올리(이탈리아 요리로 만두와 비슷한 음식)를 만들어 먹으려고 했다. 파티를 위해 빌린 집이어서 반죽을 자를 적절한 도구가 없었다. 와인 잔을 찾아 사용하다 부서지면서 와인 잔 조각이 손바닥에 박혔다”고 말했다. 지혈까지 15분가량 걸렸고 병원에서 손바닥에 박힌 유리 조각을 빼냈다고 한다. “움직이면 심하게 아팠다. 왼손으로 양치질하고 아들 기저귀도 왼손으로 갈아야 했다”고 한다.

셰플러는 “상처 부위가 더 나빠질 수도 있어 사고를 당한 직후에 ‘정말 바보짓을 했다’ 는 생각에 내게 화가 났다. 하지만 한 달가량 치료와 재활을 마친 결과, 스윙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했다. 셰플러는 복귀 후 세 대회에서 공동 9위(AT&T 페블비치 프로암), 공동 25위(WM 피닉스 오픈), 공동 3위(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를 차지했다.

2024년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서 경기하고 있는 스코티 셰플러/ PGA투어

지난해 풍성한 시즌을 보냈던 셰플러는 “PGA투어의 수준 높은 경쟁이 벌어지는 곳인데, (작년 연말 크리스마스 때 다친 손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시간을 보낸 나 자신이 바로 작년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다”며 “그런 부분에서 타이거 우즈가 그런 큰 수술과 긴 회복 끝에 돌아와서 우리와 함께 경쟁하는 것을 굉장히 높게 평가하고 기적과도 같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3월 PGA투어 일정 가운데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는 대회는 PGA투어가 직접 개최하고 주관하는 플레이어스챔피언십이다.

플레이어스챔피언십은 PGA투어가 주관하는 대회로 ‘제5의 메이저 대회’로 불린다.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상위권 선수가 대거 참가하게 돼 있어, 아마추어 참가자나 고령의 역대 챔피언이 상대적으로 많은 4대 메이저 대회보다 우승하기 어려운 대회로 꼽힌다.

셰플러는 지난해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서 사상 처음으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잭 니클라우스(미국)나 타이거 우즈 등 골프의 전설도 이루지 못한 업적이다. TPC 소그래스 스타디움 코스(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8언더파 64타를 기록하며, 최종 합계 20언더파 268타로 우승을 차지했다. 공동 2위인 브라이언 하먼, 윈덤 클라크(미국), 잰더 쇼플리를 1타 차이로 제쳤다. 역대 우승자 가운데 가장 큰 5타 차 역전 우승이었다. 3월 13일부터 16일(현지시각)까지 열리는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서 3연패에 도전하는 셰플러의 이야기를 PGA투어를 통해 들어보았다.

셰플러가 우승을 확정하고 캐디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PGA투어

지난해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었다.

“2라운드부터 목 통증이 심해 너무 힘들었다. 특히 퍼트할 때마다 통증이 심했다. 원래 승리욕이 강한 편이라 기권하고 싶지는 않았다. 아팠지만 끝까지 해보겠다는 마음으로 버텼다. 물리치료사의 노력 덕분인지 주말이 되면서는 상태가 많이 나아졌다. 나흘 내내 정말 치열하게 경기했다. 캐디인 테드가 일주일 내내 큰 힘을 주었다. 덕분에 정신력을 유지하며 우승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흔치 않은 기회를 잡아 타이틀 방어에 성공한 선수가 되어 그저 영광스러울 따름이다. 역사를쓰게 돼 행복했다.”

셰플러가 시상식에서 우승 트로피를 들고 있다/ PGA투어

심한 부상이었는데 참는 게 정답은 아닌 것 같다.

“보통 이렇게 갑자기 부상을 당하면 다음 날 아침에 상태가 더욱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토요일 아침에 일어났을 때 통증이 조금 가라앉았고, 일요일 아침에는 거의 정상으로 돌아와 좋은 라운드를 할 수 있었다.”

최종 라운드에서 대역전극을 펼쳤다.

“최종 라운드에 들어서며 전반 아홉 개 홀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내자는 목표를 세웠다. 전반에 좋은 스코어를 만들어서 우승 경쟁에 뛰어들자는 생각이었다. 초반에 버디 몇 개를 잡자고 생각했는데 첫 3홀을 파로 마쳤다. 그리고 네 번째 홀에서 홀인원을 기록하며 슬슬 모멘텀을 갖기 시작했다. 후반 9홀에서는 정말 좋은 샷이 꽤 있었다. 몇 개의 멋진 퍼트에 성공하며 최종 라운드를 64타로 끝낼 수 있었다. 결정적인 순간에 결정적인 샷에 성공했다. 그동안의 노력이 보상받는 느낌이었다. 정상에 오르는 성취감은 정말 행복하다.”

물리치료사에게 치료받고 있는 셰플러/ PGA투어

경쟁을 즐기는 편인가.

“PGA투어에서 우승을 놓고 경쟁한다는 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큰 도전이다. 마지막 조(챔피언 조)에서 경기하는 건 부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정말 즐거운 경험이다. 지난해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서는 목 통증 때문에 체력적으로도 힘들었다. 그래도 우승을 목표로 최선을 다했고, 결국 트로피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 나에게는 우승 경쟁만큼 즐거운 일이 많지는 않다. 세계 최고 선수와 겨루며 우승을 향해 달리는 그 순간이 큰 즐거움이다.”

올해 3연패 목표를 세웠다.

“여러모로 지난해 플레이어스챔피언십은 정말 치열한 승부였다. 많은 선수가 훌륭한 경기를 선보였다. 2등을 차지한 세 선수의 스코어는 19언더파였다. 내 우승 스코어 20언더파와는 고작 한 타 차이가 났다. 까다로운 TPC 소그래스의 스타디움 코스에서 이런 경기력이 나왔다는 건 정말 대단한 일이었다. 올해도 최고의 명승부를 기대하면서 우승에 도전할 것이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