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이재명 “‘민감국가’ 부른 ‘핵무장’ 운운…여당 정치인 허장성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여당 대선 주자들의 '핵무장론'을 "선동적 허장성세"라고 비판했다.
미국과 원자력,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협력을 제한될 수 있는 민감국가 지정은 여권을 중심으로 제기된 핵무장론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여당 대선 주자들의 ‘핵무장론’을 “선동적 허장성세”라고 비판했다. 미국과 원자력,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협력을 제한될 수 있는 민감국가 지정은 여권을 중심으로 제기된 핵무장론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 대표는 “(민감국가 지정을 해제할) 유일한 방법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대한민국을 정상국가로 되돌려놓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17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핵무장론은 보기엔 그럴 듯 하지만 핵무장을 하려면 미국과의 원자력협정을 깨야 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탈퇴해야 하고, 국제사회의 경제적 제재를 받아 북한과 같은 삶을 각오해야 비로소 가능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지금도 국민의힘의 주요 지도자급 정치인들이 핵무장을 운운한다”며 “실현 가능하다고 실제로 믿고 하는 소리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한 전 대표 등 여당 주자들이 핵무장론을 다시 들고 나온 데 따른 비판이다.
그는 또 “미국과 동맹을 파기하고 엔피티(NPT·핵확산금지조약)을 탈퇴해 경제 제재를 당해 북한과 같은 고립 상태가 초래되는 걸 감수하며 핵무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국민께 묻고 싶다”며 “불가능한 얘기”라고도 말했다.
이 대표는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외교부가 뒤늦게 알고 뒷북 대응에 나선 것을 두고도 “완벽한 외교 실패, 외교 참사, 정부 실패”라고 성토했다. 그는 “민감국가 지정이 1월에 이뤄졌는데 정부는 까맣게 모르고 있었고, 언론이 확인해보라고 하니 ‘미정이다, 모른다’고 대답했다고 한다”며 “이게 과연 정부냐. 지금이라도 정신 차리고 신속하게 원상복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고경주 기자 go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체포영장 협조’ 경호처 직원 해임…김성훈 인사보복 이제 시작일까
- 민감국가 지정, 미국이 ‘북한과 동급’ 삼아도… [그림판]
- 탄핵심판 선고 20~21일 예상…윤석열은 왜 ‘승복’ 언급 않나 [뉴스뷰리핑]
- 김수현 여파 MBC 예능 ‘굿데이’ “촬영분, 최대한 빼겠다”
- 국힘 극우화 8년…두 번의 총선 참패와 윤석열이 ‘폭주 기폭제’
- 조갑제 “탄핵 승복은 가해자 윤석열 몫…이재명이 계엄 선포했나”
- 내란이 깨운 ‘극우 880만명’…그들은 민주주의 자체를 싫어한다
- 김수현 여파 MBC 예능 ‘굿데이’ “촬영분, 최대한 빼겠다”
- 김새론 유족, 유튜버 ‘연예 뒤통령 이진호’ 고소…명예훼손 혐의
- 양자대결 격차 두 배…이재명 46.9%·김문수 18.1% [리얼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