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없는 '이 바이러스', 우리 산과 들에 해답 있었다···"97% 억제 효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생식물 산뱀딸기에 노로바이러스(norovirus)를 억제하는 성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변상균 연세대 교수 연구진과 공동연구에서 산뱀딸기 추출물이 노로바이러스를 억제하고 면역세포 생존율을 높이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국립자생관이 지난해 산뱀딸이 추출물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면역세포에 투여한 결과, 노로바이러스는 최대 97% 억제되고 면역세포 생존율은 최대 33%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생식물 산뱀딸기에 노로바이러스(norovirus)를 억제하는 성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변상균 연세대 교수 연구진과 공동연구에서 산뱀딸기 추출물이 노로바이러스를 억제하고 면역세포 생존율을 높이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노로바이러스는 겨울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으로 근육통, 두통, 발열 등을 유발하는 4즙 법정감염병이다. 주로 생굴 등 익히지 않은 수산물 섭취로 감염된다.
산뱀딸기는 햇볕이 잘 드는 야지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 위에 길게 뻗어 자라는 특징이 있으며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6월에 익는다. 뱀딸기와는 다른 식물이다.
국립자생관이 지난해 산뱀딸이 추출물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면역세포에 투여한 결과, 노로바이러스는 최대 97% 억제되고 면역세포 생존율은 최대 33%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산뱀딸기 추출물을 먹은 동물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시켰을 땐 장내 노로바이러스가 61% 억제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내용을 이달 특허로 출원을 마쳤고, 향후 약효 성분 후속 연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적당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방법을 자생 식물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관련 특허 기술이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활용돼 국민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생물산업계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예빈 기자 muu@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수현 측, 故김새론 모친에 '직접 뵙고 충분한 설명 드리고파'
- 결혼 전 잘생겼던 남편 '결혼 후'에 달라졌다?…기분 탓 아니라 진짜네
- '나도 너희 해칠 수 있어' 하늘이 사건 얼마나 됐다고…폭언한 30대 교사 입건
- 얼굴에 뽀뽀 받은 두 살배기 한쪽 눈 '실명'…황당한 사건, 원인은?
- 이하늬 60억 넘었다…배우 유연석, '70억 탈세' 의혹 해명 [전문]
- '5월 2일에 임시공휴일?'…'6일' 황금연휴 기대감에 설레는 직장인들
- 한국인 '이 혈액형' 가장 많은데…조기 뇌졸중 걸릴 확률 16% 높다고?
- '연봉 1억원' 中 신의 직장서 벌어진 일…'정규직 72명 부정 채용 연루'
- '아이폰16 비싸도 '이것' 믿고 샀는데'…소비자들 불만 폭주, 무슨 일?
- 길에서 주운 신분증으로 술 마신 미성년자…'식당은 무죄' 판결 나온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