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정부 제안, 말장난…의대생 복귀 압박, 협박될 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4일 의과대학 학생 복귀 시한을 이달 말까지로 정해 의대생을 압박하는 것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정부에 유연한 자세를 요구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복귀 시점을 정해놓고 얘기하는 것은 당사자인 의대생에게 불편하게 들리고 협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4일 의과대학 학생 복귀 시한을 이달 말까지로 정해 의대생을 압박하는 것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정부에 유연한 자세를 요구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복귀 시점을 정해놓고 얘기하는 것은 당사자인 의대생에게 불편하게 들리고 협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압박이 해결책이 아니라는 건 지난 1년간 경험한 것"이라며 "조금 더 부드럽고 유연한 자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올해도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아 내년에 학생이 트리플(3배)이 되는 상황을 상상하지 않고 있다"며 "그 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해야 할 일에 대해 명확한 답변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지난 7일 의대 총장단과 학장단의 건의대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의대생 전원이 이달 말까지 복귀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걸었다.
의협은 이 같은 정부의 제안은 '말장난'이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총장의 건의를 받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한다고 하면서도 정원은 5058명이라고 단정했고, 3058명으로 되돌리는 것 역시 조건부라고 했다"며 "정부의 말장난에 국민도 갈피를 못 잡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택우 의협 회장은 지난 1월 취임 후 단 한 번도 의대 정원에 대한 숫자를 얘기하지 않았고, 24·25학번인 7500명이 동시에 교육받아야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요구해왔다"며 "이를 담보할 수 있어야 2026학년도 정원을 얘기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생은 공부를, 전공의는 수련을 하고 싶어 한다"며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의협은 이날을 시작으로 앞으로 매주 목요일 오후 정례 브리핑을 열겠다고 공지했다. 목요일은 복지부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정례 백브리핑을 하는 날이다.
앞서 의협은 의정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작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 직후 맞불 브리핑을 연 바 있다.
의협이 정례 브리핑을 다시 시작한 것은 최근 의대 정원 등을 놓고 시도의사회 등에서 의협과는 다른 목소리가 새어 나오면서 명확한 입장 표명 요구가 커진 데다 의대 정원 이슈의 주도권이 의대 총장·학장단으로 넘어간 듯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대변인은 "교육부는 학장단에 제시한 4가지 의대교육 모델을 그대로 가져와서 발표했다"며 "이에 대해 성의가 부족하다는 학생들의 지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식당 테이블 올라 음식에 `소변테러`…중국이 발칵
- 중국서 귀화한 `탁구 스타` 남편, 성폭행 혐의로 10년간 출전정지 당해
- 김수현, 故김새론과 교제 의혹 일파만파…방송가·유통가 `비상`
- "화가 나서"…노래방서 여성 살해 시신 차량에 싣고 다닌 30대男
- "변기에 이걸 왜?"…인도 여객기, 갑자기 회항한 황당 사유
- "원가압박 현실로"… 관세 폭탄에 구리 이어 알루미늄 값도 급등
- 21년 만 `3등급`… 이복현 `매운맛`에 우리금융 동양생명 인수 기로
- 트럼프 "18일 푸틴과 대화"… 우크라 종전협상 막판 줄다리기 치열
- "학력·수상내역 전부?"…인크루트 개인정보 유출 2차피해 우려에 떠는 취준생들
- 美 민감국가 지정에, 최 대행 입 열어 "한미간 에너지 협력 부정 영향 없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