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 선고 앞두고… “헌재 신뢰” 53%

이은지 기자 2025. 3. 14. 12: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법재판소 신뢰도가 하락한 여론조사가 잇달아 나오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이에 불복하는 움직임이 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4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3월 2주차(11∼13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전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기관별 신뢰 여부를 물은 결과 헌재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53%로 1월 2주차(7∼9일)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갤럽, 유권자 1001명 여론조사
“신뢰 않는다” 38%로 높은 수준
헌재 판결에 대한 ‘불복’ 우려커
중앙선관위·법원·공수처까지
“신뢰 하지 않는다” 50% 안팎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법재판소 신뢰도가 하락한 여론조사가 잇달아 나오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이에 불복하는 움직임이 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신뢰도 역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14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3월 2주차(11∼13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전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기관별 신뢰 여부를 물은 결과 헌재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53%로 1월 2주차(7∼9일)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8%로 같은 기간 7%포인트 올랐다. 2월 2주(11∼13일)차 조사와 비교하면 헌재 신뢰도는 1%포인트 상승했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포인트 하락해 다소 회복했으나 1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신뢰도가 낮아진 상태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층에서는 72%가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찬성하는 층에서는 76%가 신뢰한다고 밝혔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보수 응답층은 62%가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진보 응답층에서는 79%가 신뢰한다고 답했다. 중도층에서는 59%가 헌재를 신뢰한다고 답했고 34%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보수·진보 지지층에서 헌재에 대한 신뢰도가 엇갈리면서 각 진영이 원치 않은 결과가 나왔을 경우 이를 수용하지 않는 등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앙선관위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8%로 50%에 육박했다. 이는 1월 2주 조사보다 8%포인트 높아졌다. 선관위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7%포인트 하락한 44%다. 보수 성향 응답자들은 무려 73%가 선관위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진보 성향은 76%가 신뢰했다.

법원은 신뢰한다는 응답이 47%,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1%다. 윤 대통령을 구속 수사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1월보다 14%포인트 올라 29%를 기록했지만 절대적인 수준은 아직 낮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9%다.

전날 발표된 3월 2주차 전국지표조사에서 헌재 탄핵 심판 과정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51%로 지난주보다 3%포인트 줄었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5%로 5%포인트 늘었다. 격차는 6%포인트로 오차범위(±3.1%포인트) 안으로 들어왔다. 탄핵이 기각돼야 한다고 응답한 층에서는 70%가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내 생각과 다르더라도 받아들이겠는가’라는 질문에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42%,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54%였다.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은지 기자 eun@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