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별세

조동균 2025. 3. 14. 10: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음악 분야에서 '전설'로 평가 받는 러시아 여성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1931~2025)가 현지시간 13일 새벽 영면에 들었다.

생전 구바이둘리나는 자신의 음악에 대해 영성과 간구함이 담긴 교회 음악과 같다고 표현했다.

 김 감독은 2014년 서울국제음악제(SIMF)의 예술감독을 맡아 구바이둘리나를 초청했던 특별한 일화도 전했다.

김민은 "구바이둘리나의 음악과 인생에 깊은 존경을 표하며, 그가 남긴 음악은 앞으로도 오래도록 울려퍼질 것"이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3일 93세 나이로 별세
영적 깊이와 실험 정신을 음악에 담은 거장
러시아의 여성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 (c)뉴욕타임즈

현대음악 분야에서 '전설'로 평가 받는 러시아 여성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1931~2025)가 현지시간 13일 새벽 영면에 들었다. 향년 93세.

생전 구바이둘리나는 자신의 음악에 대해 영성과 간구함이 담긴 교회 음악과 같다고 표현했다. 평단은 그의 음악에 대해 수학적 구조, 직관적 감각을 결합해 독창적이라고 평가하며 그를 20세기 후반 가장 중요한 음악가 중 하나로 꼽았다.

고인은 1931년 타타르 공화국 영토인 크리스토폴에서 타타르계 무슬림 아버지와 폴란드계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소련 체제 모스크바에서 음악을 공부한 그는 실험적인 기법을 활용하면서도, 깊은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영적이고 신비로운 색채를 음악에 담아냈다.  

러시아의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로부터 작품의 독창성을 인정 받았지만, 1979년 소련 작곡가연맹이 발표한 7명의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 작품 발표에 억압을 받기도 했다. 고인이 이 시기에 창작한 음악들은 시간이 흘러 발표가 됐고, 많은 후배 음악가들에 영향을 미쳤다.    

고인은 1992년 독일 함부르크로 이주한 이후 명성보다 내면적 탐구에 중시한 음악을 창작하는 데 집중했다. 일생동안 100편 이상의 작품을 남겼으며 대표작으로는 1980년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의 연주를 듣고 얻은 영감을 악상에 쓴 바이올린 협주곡 <오페르토리움>이 있다. 이 작품은 레이프 세게르스탐이 지휘한 비엔나 방송교향악단의 연주로 크레머가 초연했다. 1982년과 1986년 두번의 개작을 거쳐 크레머에게 헌정했다. 1986년 발표한 12악장으로 쓰여진 교향곡 <소리들...침묵들...>은 피보나치 수열을 사용해 작곡한 것으로 유명하다. 고인의 마지막 작품은 2020년 발표한 오케스트라 곡 <신들의 진노>다.  

고인은 한국과도 깊은 인연이 있었다. 바이올리니스트 김민(서울대 명예교수·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은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독일 함부르크 외곽의 산골짜기에 거주하던 고인은 전화도 이메일도 사용하지 않는 신비로운 사람이었다"고 회상했다. 김 감독은 2014년 서울국제음악제(SIMF)의 예술감독을 맡아 구바이둘리나를 초청했던 특별한 일화도 전했다. 당시 한국을 찾은 구바이둘리나는 자신의 작품인 <두 대의 비올라를 위한 협주곡>을 두 대의 첼로로 연주하는 것을 허락하는 파격적인 결정을 보여줬다. 이 곡은 바로크챔버오케스트라(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의 전신), 독일 첼리스트 율리우스 베르거, 한국 첼리스트 성현정의 협연으로 한국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김민은 "구바이둘리나의 음악과 인생에 깊은 존경을 표하며, 그가 남긴 음악은 앞으로도 오래도록 울려퍼질 것"이라고 했다. 

조동균 기자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