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북 접경 얼어붙은 두만강 위 “다리 건설 준비 작업 진행중”

김민서 기자 2025. 3. 12. 10: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두만강 위에 다리 건설을 위한 준비 작업이 진행중인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국내 위성사진 업체 SI 애널리틱스(SI Analytics)가 지난 3일 촬영한 두만강 위 모습. 얼어붙은 두만강 위로 다리 건설을 준비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다. /SI Analytics 제공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2일 한국 위성 사진 업체 ‘SI 애널리틱스’가 지난 3일 촬영해 공개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결빙된 두만강 위에서 다리 건설을 위한 준비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업체가 촬영한 위성사진에는 얼어 붙은 두만강 위에 다리 기둥을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되는 노란색 구조물이 식별됐다. 러시아 국경에서 약 300km 떨어진 곳까지 다리 공사가 진행중인 모습이 포착됐는데 국경 근처에는 건설 자재로 보이는 물건들이 쌓여 있는 모습이다.

북한 쪽 위성사진에서도 공사 현장 근처에 자동차와 트럭, 불도저 등 중장비가 배치돼 연결 도로 공사를 위한 지반을 다지는 작업이 이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SI 애널리틱스는 “강이 녹기 전까지 기초 작업을 완료하고 봄이 되면 본격적인 다리 기둥이 설치될 것”이라며 러시아에서 1km짜리 다리를 짓는 데 일반적으로 1.5∼3년이 걸리는 걸 고려하면 두만강 다리 공사는 예상보다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SI 애널리틱스는 RFA에 “러시아 정부가 2년의 공사 기간을 설정했지만, 혹한기에도 기초 작업을 서두르는 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요구에 따라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했다.

작년 6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는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자동차 다리 건설에 관한 협정도 포함됐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달 건설회사인 톤넬유즈스트로이(TonnelYuzhStroy LLC)를 두만강 자동차 교량의 설계 및 건설 계약자로 선정하고, 사업 완료 기한을 내년 12월 31일까지로 정했다. 두만강 다리 건설이 끝나면 철도를 넘어 육로까지 물류망이 강화되면서 러·북 간 무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