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대응 나선 정부… 전문가들 "강남 안정 효과 미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지난달 강남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한 이후 서울 일부에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세가 고가 지역인 강남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어 대출 규제 강화 등 정부 조치의 안정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서울시는 지난 5일 제12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주요 지역의 거래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아파트값 담합 등 교란 행위의 점검을 실시했다.
정부는 투기 세력의 집값 띄우기 목적 등 허위신고와 자금조달계획서 허위제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집중 기획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고금리에도 가격이 상승한 강남권의 아파트값이 대출 규제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WM사업부 All100자문센터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고액 자산가들이 강남 부동산을 안전 자산으로 생각하고 있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조치가 매수 문턱을 낮췄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투기 규제를 위해 시·도지사가 특정 지역의 거래를 제한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지난달 13일 잠실·삼성·대치·청담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했다.
━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0.68% 올랐으며 강남구는 청담·압구정동 0.52%,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주요 단지 위주로 0.49% 상승했다. 이 외에도 마포구(0.11%) 용산구(0.10%) 성동구(0.08%)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송파헬리오시티는 지난달 22일 전용 84㎡가 24억2500만원(15층)에 신고됐다. 지난해 11월 동일 면적은 23억5000만원(17층)이었다. 3개월 만에 7500만원 오른 가격이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는 지난해 12월 전용 84㎡ 실거래가가 35억5000만원(21층)에 신고됐다. 지난달 13일 동일 면적 실거래가는 40억원(5층)에 거래돼 두 달 만에 4억5000만원 높게 신고됐다.
장동규 기자 jk31@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들어 성관계 못 한다"… 70대 '할멈'과 바람난 남편, 황당 해명 - 머니S
- "XX 예쁜 여자랑 도둑처럼"… 승리, 뼈해장국집서 포착 - 머니S
- "어디까지 뚫린거야?"… 파리 간 여배우, 짜릿한 노출에 '깜놀' - 머니S
- "18세 어린 여직원, 남편과 몸 섞고 팬티 뒤집어쓰고 XX"… 아내 경악 - 머니S
- "중년 남성 알몸이? 너무 의도적"… TV 구입 후기에 '경악' - 머니S
- "이마트밖에 없다"… '홈플러스 위기' 본 정용진의 고심 - 머니S
- "한남대교 피해야 하나" 윤 대통령 관저 인파에 월요일 출근 '비상' - 머니S
- 피해점주들 "돈 못 빌려 휴무도… 홈플러스 정산 계획 내놔라" - 머니S
- 블랙핑크·에스파 꺾었다… 브랜드평판 1위 걸그룹은 누구 - 머니S
- 울버햄튼 황희찬, 1개월 만에 복귀 경기… 16분 동안 슈팅 '0'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