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시멘트·철근… 후방 산업은 더 휘청

이태동 기자 2025. 3. 10. 00: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착공 줄자, 자재 발주도 급감
업체들 “IMF 때보다 어려워”

건설사가 발주하는 일감에 생존이 좌우되는 골재, 시멘트, 철근 등 ‘후방 산업’은 더 크게 휘청이고 있다. 지난해 건축 착공이 전국 10만7108동(棟)으로 건설 호황기로 불리는 2021년 대비 40% 이상 줄면서, 공사에 수반되는 건설자재 발주도 급감한 여파다. 건설사 협력사들 사이에선 “2007년 금융 위기는 물론이고, 1997년 IMF 때보다 어렵다”는 말까지 나온다.

직격탄을 맞고 있는 대표적인 분야가 골재(骨材) 업계다. 골재는 콘크리트 비율의 약 70%를 차지하는 건설업 핵심 자재인데, 올해 주문량이 20년 만의 최저치인 1억9749만㎥로 추산되고 있다. 그에 따라 올해 시장 규모가 약 3조6000억원에 그쳐, 2023년 대비 약 22%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년 새 1조원가량이 줄어드는 것이다.

그래픽=양진경

지역에선 이미 사업을 포기하는 업체도 나오고 있다. 충청북도의 경우 골재업 자격을 갖춘 기업 수가 2022년 48개에서 올해 36개로 25%가 줄었다. 네 곳 중 한 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강원도 업체는 같은 기간 109개에서 86개로 21% 줄었고, 부산·울산·경남은 70개에서 60개로 14% 감소했다.

건설의 또 다른 핵심 자재인 시멘트 업계도 사정이 비슷하다. 작년 5000만t이 넘었던 전국 시멘트 생산량은 수요가 줄면서 올해 4000만t 이하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반면 재고는 2021년 87만t에서 지난해 135만t으로 55% 늘었다. 전근식 시멘트협회장은 “올해 시멘트 내수 판매량이 35년 만의 최저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골조 공사에 쓰는 철근 생산량도 2021년 1041만4000t에서 지난해 779만7000t으로 25% 떨어졌고, 재고는 같은 기간 35만8000t에서 54만2000t으로 51% 늘었다. 건축자재·인테리어 업계도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건설사 대단지 아파트나 오피스텔 인테리어 등의 물량이 급감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 인테리어 업체들도 대규모 건설사 발주를 기다리는 대신 이사철 전·월셋집 도배·장판 수요를 공략하거나 고령층 맞춤형 주거 서비스 개발에 나서는 등 틈새 시장이라도 찾는 분위기”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