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만 지을 수 있다면 ‘거시기’ 쯤이야...잔망루피 모델인 이 동물의 비밀 [생색(生色)]
[생색-42] 인간의 탁월함은 ‘짓는’ 능력에 있습니다. 아늑한 공간을 만듦으로써 삶을 쾌적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영화를 보고. 문명의 대부분은 이처럼 실내에서 이뤄집니다. 동물과 인간을 구분 짓는 대표적인 능력이기도 합니다. ‘공학적 인간’은 우리의 본질을 수식하는 대표적 표현입니다.
‘공학’은 인간이 독점하는 능력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최근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며 든 생각입니다. 인간 못지않은 엔지니어 기술로 18억원의 가치가 있는 구조물을 지어 올리기도 했습니다. 물속의 귀요미 비버의 이야기입니다.
요즘 대한민국 대중문화에서 가장 뜨거운 동물 중 하나는 비버입니다. ‘잔망루피’가 바로 비버에서 착안한 캐릭터이기 때문입니다. 뽀롱뽀롱 뽀로로 등장인물 중 하나로 시작해 주인공만큼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화려한 핑크빛 모습과는 달리 시크한 표정이 묘한 매력을 풍기기 때문입니다.
비버는 댐을 짓는 습성이 있습니다. 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들은 주로 습지에 사는데, 물이 너무 많아도, 너무 적어서도 안 되기 때문입니다. 비버의 건설 현장을 직접 가봅니다.
나무가 이내 쓰러져 버립니다. 흐뭇한 표정을 지은 비버는 두툼한 목 사이에 나무를 끼고 개울가로 이동합니다. ‘댐’을 만든 것이었습니다. 몇 차례 왕복을 거듭한 끝에, 물의 흐름이 느려지기 시작합니다. 댐의 완성으로 어느새 아늑한 습지가 만들어집니다. 비버들은 습지를 만드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 위에 오두막 모양의 거처를 짓기도 합니다. 비버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이었습니다.
늪에 빠져 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을 개척해 자신만의 공간을 만든다는 점에서 비버는 우리 인간만큼이나 ‘공학적’ 존재입니다. 그들을 생태계의 엔지니어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
영양소가 풍부한 곳은 ‘엄마’들이 가장 먼저 알아보기 마련입니다. 비버의 습지는 연어와 송어의 산란장이 됩니다. 비버의 서식지에서 연어가 80배나 더 많이 알을 낳는다는 연구결과도 있을 정도입니다. 비버처럼 물과 육지에서 사는 양서류 역시 2.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버 뉴타운’이 살기 좋은 동네로 손꼽히는 것이지요.
수중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흔적은 몸 속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비버의 ‘음경’이 대표적입니다. 수컷 비버는 몸속에 성기를 숨기고 다니다가, 중요한 순간(?)에만 이를 꺼내 사용합니다. 음경을 밖으로 내놓고 다니면 댐 건설 과정에서 다칠 수 있는 데다가, 물 바닥의 돌이나 나뭇가지에도 긁히기 쉽습니다.
수영할 때도 물의 저항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숨겨진 음경’(retracted penis)으로 진화한 이유입니다. 중세 유럽 수도사들이 비버를 ‘자웅동체’로 여긴 이유였습니다.
항문에서 풍기는 기름 향에 인간도 빠져듭니다. 향긋한 캐러멜, 바닐라 향이 났기 때문입니다. 당시 바닐라 열매를 생산하는 식물 바닐라 오키드는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만 생성돼 매우 비쌌습니다. 모피 사냥을 위해 비버를 잡은 김에 항문에서 기름을 채취해 향료로 사용한 것이었지요. 우리가 바닐라향을 값싸게 이용하게 된 건 합성 향료를 개발하게 된 뒤부터입니다.
비버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연 소방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북미 지역에서 거대한 산불이 모든 걸 집어삼킬 때 비버의 습지에서 멈췄습니다. 화마에 쫓긴 야생 동물들도 비버의 슾지에서 비로소 온전히 숨을 쉴 수 있었습니다. 인간이 쉽게 하지 못한 일을 비버가 해낸 셈입니다. 비버가 행복하면, 지구는 더욱 행복할지도 모르겠습니다.
ㅇ최근 체코에서 허가 문제로 댐 공사가 중단된 사이 비버가 자연 댐을 만들어 18억원을 절약한 뉴스가 소개됨.
ㅇ비버는 이렇듯 댐을 만드는 습성이 있는데, 수량을 조절해 서식지인 습지를 만들기 위해서임.
ㅇ비버 서식지에는 생명 다양성도 늘어나고, 거대한 산불의 방화선 역할마저 하는 것으로 나타남(잔망루피 사랑해!).
<참고문헌>
ㅇ저스틴 P. 라이트 외, 생태계 공학자인 비버 자연에서 생명 다양성을 넓히다, Ecosystems Ecology, 2002년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영화 본다며 차에 가는 남편 수상했는데”…GV60 신차에 ‘미친’ 스피커 17개 달렸네 - 매일경
- [속보] 헌법재판소,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기각 - 매일경제
- ‘尹대통령 지지’ 김흥국 “우파 연예인 일 끊겼는데…유인촌 장관 뭐하나” - 매일경제
- “어차피 이번 생은 망했어요”...50만명 넘은 ‘그냥 쉬는’ 청년들 - 매일경제
- ‘분양가 600억’ 해운대 펜트하우스…첫 삽도 못 떠보고 좌초된 사연은 - 매일경제
- “방송이 이빨이냐, 다 빼게”... MC몽 결국 팬들 비난에 입열었다 - 매일경제
- “수십조 걸려 있는데 사인할 사람이”…체코 원전수출, 최종계약 ‘삐걱’ - 매일경제
- [단독] “AI 본격 도입땐 일자리 소멸 1순위”…강원·제주·경북 경고등 켜진 이유는? - 매일경제
- “잘봐, 이게 언니의 픽이야”...올해 처음 행동나선 돈나무 언니, 어떤 종목 샀나봤더니 - 매일
- ‘1% 가능성 99% 믿음’ 광주가 기적을 썼다! 1차전 0-2 열세 극복하고 ACLE 8강 진출···‘고베에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