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장애인 취업의 새 지평, ‘BTS(Booster for Talent’s Success)’ 2년차 성황리 종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 BTS 프로그램은 ▲총 4개의 스텝업(Step Up) 과정 ▲2개의 레벨업(Level Up) 과정, ▲2회의 커리어데이 ▲수료자 대상 워라밸캠프 ▲온라인 개별 코칭 ▲실무 심화 대면 교육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되었다.
콘래드 서울, 테스트웍스, 이케아 코리아 등이 참여한 스텝업(Step Up) 5주 과정은 23년도 대비 프로젝트 기간을 3일로 압축하여 집중도를 높였으며 ▲대면 오리엔테이션 ▲온라인 직무 교육(4주간의 자기탐색 및 기업과 직무 이해, 실무/실습 등) ▲1차 기업 탐방(오피스 투어 및 현직자 인터뷰) ▲3일간의 프로젝트 실습(현직자 멘토링, 외부 전문가 멘토링) ▲2차 기업 탐방(과제 발표 및 평가)으로 커리큘럼을 준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2024 BTS 프로그램, 맞춤형 교육과 현장 중심 경험으로 혁신 선보여
- 스텝업(Step Up) 5주 과정 효율화, 레벨업(Level Up) 8주 과정 확대
- 장애 유형별 맞춤 지원 시스템으로 참여자 호평 이어져
체계적인 커리어 설계부터 실무 역량 강화까지 지원하는 청년 장애인 일경험 프로그램 BTS(Booster for Talent’s Success)가 2024년에 2년 차를 맞이하여, 고용노동부의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으로 운영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진로설계 맞춤형, 지역 거점형, 장애 유형별 맞춤 지원형 등 더욱 세분화된 운영을 통해 2023년 대비 한층 진화된 지원 체계를 선보였다.
2024 BTS 프로그램은 ▲총 4개의 스텝업(Step Up) 과정 ▲2개의 레벨업(Level Up) 과정, ▲2회의 커리어데이 ▲수료자 대상 워라밸캠프 ▲온라인 개별 코칭 ▲실무 심화 대면 교육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되었다. 특히 2023년 대비 프로그램 구조를 전략적으로 재설계해, 참여자들의 실질적 역량 강화에 더욱 집중한 것이 특징이다.
콘래드 서울, 테스트웍스, 이케아 코리아 등이 참여한 스텝업(Step Up) 5주 과정은 23년도 대비 프로젝트 기간을 3일로 압축하여 집중도를 높였으며 ▲대면 오리엔테이션 ▲온라인 직무 교육(4주간의 자기탐색 및 기업과 직무 이해, 실무/실습 등) ▲1차 기업 탐방(오피스 투어 및 현직자 인터뷰) ▲3일간의 프로젝트 실습(현직자 멘토링, 외부 전문가 멘토링) ▲2차 기업 탐방(과제 발표 및 평가)으로 커리큘럼을 준비했다.
또한 한국 화이자, 한국 MSD와 협력을 통해 24년 5주(직무 교육 4주 + 프로젝트 2주)의 교육과정에서 8주 프로그램으로 추가 도입해, 심화 직무 교육과 프로젝트 실습 기간을 늘렸고 기업 탐방 4회로 확대하면서 기업별 실무 과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보다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했다.
프로그램 전 과정에서 뇌병변장애, 지체장애, 시각 · 청각장애 등 다양한 장애 유형을 고려한 1:1 멘토링, 수화 통역사, 속기 지원, 안전 요원 배치 등 세심한 모습을 보였던 퍼솔켈리코리아에 대해 참여자들은 “장애 특성과 역량을 고려한 유일무이한 프로그램”이라며 호평했으며, 특히 “현직자와의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 실습이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됐다” 고 밝혔다.
아태지역 HR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 퍼솔켈리코리아는 BTS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청년 장애인의 역량 강화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해왔다. 이러한 노력이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며 2년 연속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장애인 당사자 포럼에서 장애인 고용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연합체인 ‘The Valuable 500’의 주목을 받는 성과를 거두었다.
관계자는 “앞으로도 청년 장애인이 직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장애 유무를 넘어 누구나 공정한 기회를 누릴 수 있는 고용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퍼솔켈리코리아는 지속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체계적인 사후관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커리어데이, 워라밸캠프 등 지속적이고 다양한 네트워킹 기회와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이어가며 청년 장애인들이 안정적인 사회 진입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감귤 하나로 750캔 만들었다”…백종원, ‘빽햄’ 이어 이번엔 ‘맥주’ 논란
- “아무것도 안했는데, 하루 6000만원 벌어”…中 유명 인플루언서, 거센 ‘논란’에 해명했지만
- 조권 “명백한 불법, 선처나 합의 없다”…법적 대응 나선 이유?
- 불난 빌라에서 사람 구했는데…“현관문 수리비 물어내라”는 주민들, 왜?
- 中 우한 연구소, “감염력 더 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코로나 테마주 강세 [투자360]
- “오요안나 1년간 무단결근 4번·지각 5번” ‘유출’ 근태보고서에도...여론 ‘싸늘’
- 배우 서효림, 故 김수미에게 전수받은 레시피 첫 공개
- “61세에 19세 여성과 동거했다”…어느 70대 유튜버의 ‘자랑’ 시끌
- 쥬얼리 조민아 “전국 4위”…보험설계사 대박 근황
- 방탄소년단 제이홉·아이브, 롤라팔루자 베를린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