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美통상정책 변화…반도체·車 등 한국 주력사업 타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대표되는 미국 통상정책 변화로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19일 '주력산업 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올해 반도체 업황과 관련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높은 정책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되면서 국내 반도체 산업 성장의 하방 리스크(위험)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대표되는 미국 통상정책 변화로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19일 '주력산업 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올해 반도체 업황과 관련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높은 정책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되면서 국내 반도체 산업 성장의 하방 리스크(위험)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BM(고대역폭메모리)등 고성능 반도체 수출 호조는 이어지겠지만, 범용 반도체 수요 부진, 기저효과 등으로 반도체 전반의 수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수출에 대해서는 "견조한 북미 수요에도 불구하고 유럽 판매 부진, 미국 보호무역주의 정책 강화에 대응한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또 침체를 겪고 있는 석유화학 업황에 대해서도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글로벌 제조업 경기 개선 지연과 공급 과잉 등으로 생산과 수출이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나라에 예외없는 25% 관세를 예고한 철강 업황 역시 부진을 전망했다. 보고서는 "국내 건설경기 침체, 중국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에 따른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예고된 점은 추가 하방 리스크"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SOS를 치기도 한 조선 업황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조선업 경기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친환경·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선별 수주가 이어지고 수익성도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조태임 기자 jogiza@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북한군 포로 "대한민국에 가고 싶다, 나는 아직 젊다"(종합)
- "민주당 강령, 진보니 보수니?"…챗GPT에 물었다
- 봉준호, "故 이선균, 누가 뭐래도 좋은 사람…자책감 들었다"
- NJZ(뉴진스) 측 "방시혁, 홍콩 공연 무산 종용" 주장
- 이하늬, 65억 부동산 자금 의혹 해명 "적법한 절차로 취득"
- '탈북어민 강제북송' 정의용·서훈·노영민 선고유예…檢 '항소'(종합)
- 고법, '10·26 사건' 故김재규 재심 개시 결정
- '398억 원 임금 체불' 박영우 대유위니아 회장 '징역 4년'(종합)
- 중학생 의붓아들 폭행해 숨지게 한 30대 구속
- 이낙연 "대선 시대정신은 尹·李 청산…힘 쓰고 떠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