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도 25% '관세 폭탄' 예고‥"미국으로 오면 관세 없어"
[뉴스데스크]
◀ 앵커 ▶
며칠 잠잠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엔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동차는 우리에겐 대미 수출 1위 품목이어서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이는데요.
산업계에 미칠 영향, 오해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우리나라가 지난해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는 154만 대.
멕시코 다음으로 미국에 자동차를 많이 수출했습니다.
자동차는 지난해 대미 수출 품목 1위로 전체 수출액 가운데 49%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한미 FTA 협정에 따라 지금까지는 관세 없이 미국으로 수출했는데, 25% 관세가 붙으면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25% 관세 부과 시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19% 가까이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한국 GM의 경우 생산량의 84%를 미국으로 수출하는데, 관세 부담에 공장을 아예 철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식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0월 운영에 들어간 조지아 공장까지 현지 공장 3곳의 생산량을 최대한 끌어올리면 연간 119만 대 생산이 가능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노리는 효과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네, 아마 4월 2일에 말씀드릴 겁니다만 (자동차 관세가) 25% 정도 될 겁니다."
하지만 우리 입장에선 그만큼 국내 생산이 줄어 임금 감소와 지역 경제 악화 등 부작용이 예상됩니다.
또 차량용 강판과 배터리 부품을 현지에서 납품받으면 연관된 국내 중소 업체들도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한아름/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는 부분이 있고 연관 산업 같은 경우에도 철강, 알루미늄 관세로 인해서 수입하는 부품이 현지화될 경우에는 타격을 같이 받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더해 반도체와 의약품에도 25% 이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는데, 이럴 경우 국내총생산, GDP가 0.2% 감소할 것이란 예측도 나왔습니다.
통상 마찰이 가시화되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자동차와 반도체, 철강과 조선 등 핵심 산업 대표들이 서둘러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MBC뉴스 오해정입니다.
영상편집: 진화인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진화인
오해정 기자(why@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688399_36799.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단독] 김용현의 '내란' 비화폰은 지금 경호처에‥검찰은 왜 깡통폰만 챙겼을까?
- [단독] '공관에 숨은 김용현' 검찰은 알고 있었다‥"수사관이 모셔갔다"
- 명태균 "김용현에 이력서 보내라"‥'인사청탁 과시' 녹취 공개
- 김영선 감사보고서에 "김건희 개입설"·"명태균 상급자"
- [단독] '선관위 간첩' 가짜뉴스 출처는 '캡틴코리아'‥"트럼프도 안다"
- 간첩단 보도 직후 "돈 줘, 취업시켜 줘"‥재작년엔 '미군 사칭' 인정
- 내일 尹 마주하는 한덕수‥"계엄 반대·국무회의 하자" 재확인
- 김문수 토론회에 여당 의원 60명 출동‥여권도 조기대선 행보
- 이재명의 우클릭 "민주당은 진보정당 아냐‥중도 보수정당"
- 조지호 "尹, 계엄 당일 6번 통화 내내 체포 닦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