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용현 "해제의결 1시간 뒤 내가 철수 건의"…윤 주장과 배치

류정화 기자 2025. 2. 19. 18: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용현 14차례 검찰 진술' 통째 확인


[앵커]

'내란 2인자' 김용현 전 장관은 검찰에서 14차례 진술을 했는데 JTBC가 그 방대한 진술 내용 전체를 확인, 취재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진술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나서기 전에, 그러니까 대통령 측과 교감이 있기 전에 김 전 장관이 '알아서 한 진술'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런 진술에서 김 전 장관은 국회의 계엄 해제가 있고 1시간 뒤에야 자신이 대통령에게 군 철수를 건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결의 후 곧바로 내가 장관에게 군 철수를 지시했다, 그러니 애당초 국회 장악 의도가 없었던 것 아니냐 이렇게 강변해 온 윤 대통령의 주장과 완전히 배치됩니다. 서로 '사인'이 오가기 전에 한 진술에서는 내란 2인자조차 1인자와 다른 말을 한 겁니다.

첫 단독 보도, 류정화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2월 4일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의결이 이뤄진 직후, 김용현 당시 국방장관과 박안수 당시 계엄사령관을 직접 불러 '군 철수를 지시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탄핵심판 4차 변론 (지난 1월 23일) : 계엄 해제 요구가, 결의가 나오자마자 바로 장관과 계엄사령관을 즉시 제 방으로 불러서 군 철수를 지시했고…]

그런데 김 전 장관은 검찰 진술에서 윤 대통령에게 '병력 철수'를 먼저 건의한 건 본인이었다고 했습니다.

국회가 계엄 해제를 의결한 지 약 1시간 뒤인 12월 4일 오전 2시쯤입니다.

정부 보안폰, 즉 비화폰을 이용해 병력 철수를 건의하자 대통령이 즉시 철수를 승인했다고 했습니다.

계엄 당시 집무실에 머물던 윤 대통령은 앞서 계엄 해제 의결 후인 4일 오전 1시 30~40분 경에도 합참을 찾았지만 병력 상황과 국회 상황 보고만 받고 떠났다고 했습니다.

즉 윤 대통령은 상황만 살펴본 뒤, 병력 철수 지시 없이 자리를 떴고, 김 전 장관이 전화해 건의하자 그제서야 병력 철수를 승인했다는 겁니다.

실제 당시 국회 현장에선 계엄 해제 의결 후 '병력 철수' 지시가 없어 오히려 '철수 건의'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갔다는 증언이 나온 바 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지난 4일) : 김용현 전 장관이 '어떻게 하냐'라고 저한테 먼저 물어봐서 제가 철수하겠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조금만 더 버텼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을 해서…]

김 전 장관은 자신의 건의로 병력 철수가 이뤄졌다는 검찰 진술 후 약 45일 뒤, 윤 대통령을 대면한 자리에선 말을 또 바꿨습니다.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 (지난 1월 23일 / 탄핵심판 4차 변론) :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가 있자마자 대통령실이 대통령이 증인과 박안수 계엄관을 집무실로 불러서 즉시 병력을 철수해라 라고 지시했죠?} 맞습니다.]

[영상편집 최다희 / 영상디자인 최석헌]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