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전범 기업 직접 배상"…첫 승소 판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앵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가족이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의 한국 내 자산을 추심하겠다며 낸 소송 1심에서 승소했습니다. 앵커>
[임재성/강제동원 피해자 소송 대리인 : 이 판결의 의미는 가집행 권원이 선고됐습니다. 그래서 1심판결에 항소해서 불복하고 대법원까지 간다 하더라도 저희는 이 가집행 권원에 근거해서 가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재작년 외교부는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일본 기업을 대신해 한국 기업의 돈을 통해 배상금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안'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가족이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의 한국 내 자산을 추심하겠다며 낸 소송 1심에서 승소했습니다. 이 판결이 확정되면 강제동원 피해자가 추심을 통해 배상받는 첫 사례가 됩니다.
김지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일제강점기 당시 미쓰비시중공업의 조선소 등에 강제동원됐던 고 정창희 씨.
지난 2018년 대법원은 미쓰비시 측이 정 씨 등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8천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이후 미쓰비시 측이 배상금 지급을 거부하자, 정 씨 유족은 미쓰비시중공업 손자회사인 엠에이치파워시스템즈코리아를 상대로 위자료를 대신 지급하라고 소송을 제기했는데, 1심 재판부가 유족 측 손을 들어줬습니다.
재판부는 한국에 있는 미쓰비시 손자회사로부터 채권을 회수할 수 있다는 유족 측의 주장을 모두 인정하며 미쓰비시 측에 원고가 청구한 금액인 8천300여만 원과 지연 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일본 기업으로부터 추심 소송을 통해 직접 배상금을 받게 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유족 측은 미쓰비시 측에서 항소하더라도 끝까지 배상금을 받아내겠다고 밝혔습니다.
[임재성/강제동원 피해자 소송 대리인 : 이 판결의 의미는 가집행 권원이 선고됐습니다. 그래서 1심판결에 항소해서 불복하고 대법원까지 간다 하더라도 저희는 이 가집행 권원에 근거해서 가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재작년 외교부는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일본 기업을 대신해 한국 기업의 돈을 통해 배상금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안'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장 씨 유족을 비롯한 일부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일본 기업으로부터 직접 배상금을 받겠다며 이를 거부했습니다.
(영상취재 : 설민환, 영상편집 : 이재성)
김지욱 기자 wook@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잘 봐달라" 명태균 황금폰에 '홍준표 아들' 메시지
- "조 청장, 의원들 다 잡아" 조서 공개…윤 측은 항의 퇴정
- [단독] 인간 전염 우려에도 사육…3배 뛴 가격에 또 샀다 (풀영상)
- "한 달간 연락 안돼" 흘리고…문제 팔아 억대 번 교사들
-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불나면 꼼짝 못하는 '알리 도어록'
- 착륙 중 여객기 뒤집혔는데…80명 전원 기적의 생존, 왜
- "암암리 핀다더라" 학교 앞 파는데…또 국회서 못 넘었다
- '하늘이 사건' 쏟아진 질타…교육감 태도에 "남 얘기하듯"
- 문 정부 '입각 제안' 논란…안철수 "안 받았으니 해명하라"
- "어르신? 어색해" 요즘 노인…오래 사는데 44년째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