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尹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불청구…“증거인멸 우려 낮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검찰이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불청구하기로 했다.
18일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이 신청된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앞서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 13일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은 지난달 24일에도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해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이를 반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범죄 사실 다툼의 여지”…도주 우려 낮은 점도 고려
(시사저널=문경아 디지털팀 기자)
검찰이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불청구하기로 했다.
18일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이 신청된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이로써 검찰은 김 차장에 대한 경찰의 세 차례에 걸친 구속영장 신청을 모두 기각했다.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법원에 청구하지 않은 것은 두번째다.
검찰은 "경찰이 구속영장 신청서에 기재한 범죄 사실과 관련해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봤다"며 "해당 혐의 인정을 전제로 하는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에서 현재까지 확보한 채증 영상과 관련자 진술, 최근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통해 확보한 피의자들의 휴대전화 등 증거를 종합해 볼 때 증거 인멸 우려가 높지 않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피의자들이 수사 기관에 자진 출석한 점과 경호 업무 특성상 도주 우려도 높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 13일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은 지난달 24일에도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해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이를 반려했다. 당시 검찰은 경찰에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혐의에 대한 보완 수사를 요구했다.
이후 경찰은 보완 수사를 거쳐 구속영장을 재신청 했지만 이번에도 검찰은 구속의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경찰은 지난달 18일 김 차장을 체포한 뒤에도 구속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 단계에서 기각된 바 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모님 도움으로 ‘50억 아파트’ 산 뒤 신고 안 했다가 결국… - 시사저널
- ‘납치 오해’로 택시서 투신해 사망한 여대생…비극 원인은 ‘노인성 난청’ - 시사저널
- 헌재 흔드는 보수 진영, 문형배의 ‘TF 대본 발언’도 도마 위에 - 시사저널
- “양치기 소년” “진보 배신자”…‘상속세’ 던진 이재명, ‘공공의 적’ 됐다? - 시사저널
- 끝나지 않은 ‘윤석열의 시대’, ‘한동훈의 시간’은 올까 - 시사저널
- ‘상습 마약 투약’ 유아인 2심서 집행유예 감형…석방 - 시사저널
- “우리는 못나지고 있다”…故 김새론 사망에 ‘무관용 사회’ 자성 쏟아졌다 - 시사저널
- “찍히면 끝난다” 한국의 나락 문화…故 김새론이 남긴 과제 - 시사저널
- 58년 가수 인생 마침표 찍은 ‘트로트 가황’ 나훈아 - 시사저널
- ‘지지층’ 여론에 일희일비? 오락가락하는 이재명과 권영세의 ‘입’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