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노바메이트 다음은 너"… SK바이오팜 'TPD' 힘주는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로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SK바이오팜이 차세대 먹거리로 TPD(표적단백질분해 치료제)를 낙점했다.
SK바이오팜은 캐시카우(현금 창출원)인 세노바메이트의 특허가 7년 남은 시점에서 성과를 이을 차세대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하는 실정이다.
━시장 성장 가능성 큰 TPD 영입 전문가 개발 '속도'━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성과를 이을 3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TPD를 선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법인서 영입한 전문가, TPD 개발 본격화
18일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지난해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전체 매출은 4387억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SK바이오팜의 지난해 매출은 5476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80%가 세노바메이트 미국 매출에서 나오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는 2020년 미국 출시 이후 SK바이오팜의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세노바메이트 한 품목에 집중된 매출 의존도가 향후 회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어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일었다.
━
SK바이오팜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장녀 최윤정 사업개발본부장(부사장) 체제 아래 성장동력 발굴을 가속하고 있다. 최 부사장은 2023년 SK바이오팜의 TPD 플랫폼을 보유한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SK LSL)를 인수했다.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는 SK바이오팜의 TPD 신약 개발 자회사다. SK바이오팜은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 인수 후 분자 접착제(MG) 발굴 혁신 플랫폼인 'MOPED'를 통해 기존에 치료제가 없던 표적에 작용할 수 있는 분해제를 발굴·개발하고 있다.
최근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에 TPD 전문가인 라이언 크루거 박사와 스티븐 나이트 박사를 영입해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라이언 박사는 생물학 연구팀을 총괄하고 스티븐 박사는 주요 화합물 개발에 힘쓸 예정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TPD 영역은 자사의 차세대 모달리티로 힘을 싣고 있으며 미국 현지 연구 중심 지사인 SK LSL을 통해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계열 내 최초) 항암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며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가 보유한 MOPED 플랫폼 등을 통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곽선우 기자 kswoo1029@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명태균 황금폰' 속 연락처 확인하니… 무려 5만5000명 - 머니S
- "알콜중독·밉상"→ "참 예쁜 아이"… 김새론 악플러 이중적 모습 - 머니S
- 일본 공항서 아이돌 사진 찍던 한국인, 직원이 제지하자 폭행 - 머니S
- "보일듯 말듯" 아찔한 노출… 화사, 매혹적인 S라인 - 머니S
- 강남칼부림 사건 때문에… 채리나·박용근 "결혼식 못했다" - 머니S
- 악뮤 이수현, 김새론 빈소서 통곡… "집 비밀번호도 공유한 절친" - 머니S
- "견디고 사느라 고생 많았다"… 서유정, 김새론 사망에 분노 - 머니S
- 한화에어로 '신고가'… 한화, 6거래일 60% 급등 - 머니S
- [특징주] 폴라리스오피스, '그록3 출시' 테슬라 연동 AI 기능 탑재에 강세 - 머니S
- 태영 이어 '건설 부실 리스트' 예고… 시공능력 상위업체 포함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