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기업 임금, EU·日 추월… 중소기업도 日보다 많아”
韓 구매력평가환율 8.7만弗 달해
유럽·日 포함 22개국 중 5위 올라
EU 평균 8만·日 5.6만弗에 앞서
中企도 5만弗로 日 4.2만弗 제쳐
韓 대기업·中企 임금격차 가장 커
中企 임금, 대기업의 57.7% 그쳐
성장 과실 대기업 노동자만 누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대기업의 연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구매력평가환율 기준 8만7130달러로 전체 22개국 가운데 5위였다. EU 20개국 평균(8만536달러·1억1627만원)보다 8.2 높았고 일본(5만6987달러·8227만원)보다는 52.9 많았다. 한국보다 대기업 임금이 많은 국가는 룩셈부르크, 독일, 프랑스, 아일랜드에 그쳤다. 구매력평가환율은 각국 통화의 실질 구매력을 기준으로 평가한 환율로, 물가를 감안한 실질 임금 차이를 보여준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도 한국이 156.9로 EU 평균(134.7), 일본(120.8)보다 각각 22.2포인트, 36.1포인트 높았다. 전체 22개국에선 그리스(166.7), 프랑스(16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반면 한국 중소기업의 연 임금총액은 구매력평가환율 기준 5만317달러(7264만원)로 분석대상 22개국 중 10위에 머물렀다. 이는 EU 평균(5만2398달러·7565만원)보다 낮고 일본 중소기업(4만2022달러·6067만원)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유럽 20개국 평균치, 일본과 비교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2002년만 해도 한국의 임금 격차는 크게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 당시 중소기업은 대기업 대비 70.4%의 임금을 받았다. 그러나 2022년에는 이 비율이 57.7%로 떨어졌다. 유럽도 사정은 낫지만 격차가 벌어지기는 마찬가지였다. 2002년 EU 20개국의 중소기업 노동자는 대기업 대비 76.6%를 벌었지만 2022년에는 65.1%를 받는 데 그쳤다. 반면 일본은 같은 기간 이 비율이 64.2%에서 73.7%로 오히려 임금격차가 좁혀졌다.
한국 임금격차 확대의 주 원인은 대기업 임금의 급상승이었다. 한국 대기업 임금은 2002년 평균 2741만원에서 2022년 7061만원으로 157.6 올랐다. EU 대기업은 같은 기간 84.7 올랐고 일본 대기업은 6.8 줄었다. 지난 20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이들 국가보다 높았던 것을 감안하면 경제성장의 과실이 주로 대기업 노동자에 돌아간 셈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임금 인상은 지속 가능할 수 없는 만큼 직무와 성과에 기반한 임금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법정 정년 연장은 대기업 근로여건을 더욱 끌어올려 신규 채용 여력을 약화하고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심화시킬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