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기업 임금 수준, 日·유럽 평균보다 높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대기업 임금 수준과 인상률이 일본과 유럽연합(EU)보다 높고 일본·EU 회원국을 포함한 22개국 가운데 5위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한·일·EU 기업 규모별 임금 수준 국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대기업의 연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8만 7130달러로 일본과 EU 20개 회원국을 포함한 22개국 가운데 5번째로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기는 EU보다 4% 낮아 대조적
경총 “생산성 넘은 임금 상승 탓”
한국의 대기업 임금 수준과 인상률이 일본과 유럽연합(EU)보다 높고 일본·EU 회원국을 포함한 22개국 가운데 5위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한·일·EU 기업 규모별 임금 수준 국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대기업의 연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8만 7130달러로 일본과 EU 20개 회원국을 포함한 22개국 가운데 5번째로 높았다. 우리 대기업의 평균 임금은 EU 20개국 평균(8만 536달러)보다 8.2%, 일본 대기업(5만 6987달러)보다 52.9% 높았다. 경제 수준을 고려한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에서 한국은 156.9%로 EU 평균(134.7%), 일본(120.8%)에 비해 각각 22.2% 포인트, 36.1% 포인트 높았다. 분석 대상 22개국 중 한국은 그리스(166.7%), 프랑스(16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 20년간 한국의 대기업 임금 인상률은 가팔랐고, 그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도 확대됐다. 한국 대기업 임금은 2002년 2741만원에서 2022년 7061만원으로 157.6% 올랐지만, EU 대기업은 같은 기간 84.7% 올랐고, 일본 대기업은 6.8% 줄었다.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했을 때 중소기업 임금 수준은 한국 57.7%, EU 평균 65.1%, 일본 73.7%였다. 2002년에는 일본(64.2%), 한국(70.4%), EU 평균(76.6%) 순이었다. 한국 중소기업의 연 임금총액은 5만 317달러로 전체 22개국 중 10위였다. 일본(4만 222달러)보다 19.7% 높았고, EU 평균(5만 2398달러)보다 4.0% 낮았다. 1인당 GDP 대비 중소기업 임금 수준은 한국(90.6%), 일본(89.1%), EU 평균(87.6%)이 비슷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대기업 임금이 일본·EU보다 높은 것은 연공형 임금체계와 강력한 노조로 인해 생산성을 초과한 일률적 임금 상승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성관계 후 10년 동안 멀쩡하다가 ‘실명’…韓서 급증했다는 ‘이 병’
- “망했다고 소문나” 200평대 대저택 공개한 가수 박서진
- ‘재혼’ 심수봉 “첫째 아들에게 유산 다 줄 것” 파격 선언
- “나이 불문 성관계 중요…파트너 찾아요” 사별 3년만에 데이팅앱 켠 81세 美전문가
- 사유리, 아들 키워야 하는데 생활고 “돌반지에 금니까지…”
- ‘신동엽♥’ 선혜윤 PD, ‘이소라 재회’에 “그건 몰랐지!” 분통
- 20대 보수女 “‘54세’ 머스크 아이 낳았다” 고백…“아이 갖는 게 부업이냐”
- “의료계 상황 어렵지만”…‘욘사마’ 배용준이 ‘30억’ 깜짝 기부한 이곳 어디?
- “7시간 이상 못 자면 이렇게 됩니다”…‘충격적’ 외모 변화
- 고래 입속으로 빨려 들어간 男 ‘충격’...기적적 생존 뒤 남긴 소감은?(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