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줄인상에 소송전까지…건설사 매출 원가율 9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설 공사비가 급등하며 주요 대형 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이 평균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원가율이 91.2%로 집계된 대우건설은 지난해 영업 이익(4031억원)이 전년 대비 39.2% 감소했다.
건산연은 지난달 발표한 2025년도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 3년간 지속해 상승해 왔던 공사비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설기업의 경영 여건이 급격히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설 공사비가 급등하며 주요 대형 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이 평균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가 넘는 회사도 있다. 매출 원가율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매출 원가의 비율로, 이 비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회사가 벌어들인 돈보다 지출한 돈이 더 많다는 의미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2024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중 현대건설과 금호건설은 지난해 매출 원가율이 각각 100.6%와 104.9%(이하 잠정 실적 기준)로 집계됐다.
현대건설은 작년 연결 기준 잠정 1조220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3년 만의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금호건설도 1818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매출 원가율이 91.2%로 집계된 대우건설은 지난해 영업 이익(4031억원)이 전년 대비 39.2% 감소했다. GS건설의 매출 원가율은 91.3%, HDC현대산업개발은 90.9%로 집계됐다. 삼성물산 건설부문(89.4%)과 DL이앤씨(89.8%)도 90%에 육박했다.
금호건설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기업은 모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에 속하는 기업들로, 이 6개 기업의 매출 원가율은 평균 92.2%다. 이 밖에 동부건설 약 97%, 두산건설 91.2%, 삼성E&A 84.9% 등으로 나타났다.
2017∼2020년 약 85∼87% 수준이던 매출원가율이 100%에 가까워진 것은 공사비 상승 때문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며 원자잿값과 인건비 등 주요 비용들이 모두 큰 폭으로 올랐다. 이에 따라 건설 공사비 지수는 2020년 12월 102.04에서 지난해 12월 130.18로 27.6% 상승했다.
일부 현장에서는 공사비를 둘러싼 분쟁이 소송전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두산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은 2019년 공동 수주한 김해 더스카이시티 아파트 공사비를 이달 초 845억원 증액했다. 조합 측과는 증액안에 합의했지만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GS건설은 최근 서울 신반포4지구 재건축(메이플자이) 조합에 총 4859억원 규모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고, 이 중 2571억원에 대해서는 조합을 상대로 지급 소송을 제기했다. 이 단지는 오는 6월이 입주 예정이어서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인근의 전월세 이동에도 영향을 미쳐 최대 1만가구가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현대건설은 2017년 3.3㎡당 548만원에 수주한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재건축(1·2·4주구) 공사비를 지난해 9월 793만원으로 올렸다. 이에 따른 공사비는 총 3조8959억원 규모다.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HDC현대산업개발이 공동 시공한 잠실진주재건축(잠실래미안아이파크)은 당초 666만원이던 공사비를 지난달 847만원으로 올렸다.
이런 가운데 공사비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산연은 지난달 발표한 2025년도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 3년간 지속해 상승해 왔던 공사비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설기업의 경영 여건이 급격히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이윤희기자 stel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째려보는 트럼프 사진…백악관 집무실 앞에 머그샷 걸렸다
- 초등생 하늘이 살해 교사 6일째 대면조사 못해…"안정 취하는 중"
- 머스크 13번째 자녀?…"아이 갖는게 부업" 댓글에 웃는 이모티콘 달아
-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책 한 권 쓰고 있어"
- 골드바·골드뱅킹 판매 `불티`…실버바도 15배↑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경영 참여 `2년 더`… 진두지휘 한 `짐펜트라`는 과제
- "中 AI시장 뜨겁네"…구직자 57%가 관련 직종 취업 고려
- `죽느냐 사느냐`…이재명 운명의 날
- 세수펑크에 올해 국세감면액도 78조…재정건전성 `빨간불`
- 조주완 LG전자 대표 “인도시장 통해 성장 가속화… 질적성장 비중 높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