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혈흔 위에서 계엄 옹호?”…대규모 집회 앞둔 광주 시민들 ‘망연자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가 예정된 광주광역시 금남로 일대를 지켜보던 강경심 씨(68)는 울분에 찬 목소리로 "집회 장소(금남로)와 내용(비상계엄과 대통령 지지) 모두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광주 시민 류시현 씨(36)는 "어떤 집회를 열든 자유지만 장소 선정이 아쉽다"며 "5·18 민주광장부터 금남로까지 시민들의 '계엄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장소는 피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18 성지 금남로서 웬 말” 불만 토해내
“탄핵 찬성 대신 ‘민주당 비판’했어야” 지적
15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가 예정된 광주광역시 금남로 일대를 지켜보던 강경심 씨(68)는 울분에 찬 목소리로 “집회 장소(금남로)와 내용(비상계엄과 대통령 지지) 모두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광주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앞두고 시민들 사이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집회 장소와 주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반대 집회에 맞서 탄핵 찬성 측이 맞불 집회를 예고하며 충돌 우려도 제기된다.
15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보수성향 개신교 단체인 세이브코리아는 이날 오후 1시 광주 지하철 1호선 금남로4가역 일대에서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개최한다.
집회 장소 인근 시민 중 다수는 탄핵 찬성 집회를 반기지 않고 있었다. 같은 날 탄핵 찬성 집회를 여는 광주비상행동 관계자는 “광주 금남로에서 대규모 탄핵 반대 집회를 연단 소식에 분노한 광주 시민이 많다. 집회 소식이 전해지고 참여 의사를 전해온 시민과 단체가 많아 (찬성 집회에) 2만명 이상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탄핵 찬성 집회를 비판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집회 장소가 금남로 일대라는 점이다. 금남로는 5·18 민주화운동의 주요 격전지이자 가장 많은 시민 사망자가 나온 장소로, 당시 정부가 선포한 비상계엄의 최대 피해 지역으로 지목된다.
금남로에서 상가를 운영 중인 정진경 씨(61)는 “(5·18 당시) 어렸음에도 계엄군과 시민군이 주고받던 총소리와 비명이 아직 생생하다”며 “희생자들을 생각해서라도 이곳에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이 정당했다’는 구호가 나오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앞서 탄핵 반대 주최 측이 5·18 민주광장을 집회 장소로 추진했단 소식이 전해지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 주최 측은 반대 집회를 위해 광주시에 5·18 민주광장 사용 허가를 요청했지만, 광장 관리권한을 지닌 광주시는 “광장 조성 목적에 맞지 않는다”며 이를 불허했다.
이를 두고 광주 시민 류시현 씨(36)는 “어떤 집회를 열든 자유지만 장소 선정이 아쉽다”며 “5·18 민주광장부터 금남로까지 시민들의 ‘계엄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장소는 피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반면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2일 “조례가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의 자유보다 우위에 있냐”며 “탄핵에 반대하면 광주 시민도 아니라는 모독이다”라고 주장했다.
집회 명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광주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선 그간 다른 지역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와 달리 계엄과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아닌 민주당을 향한 비판을 명분으로 삼아야했단 것이다.
전남대학교 재학생 황 모씨(25)는 “혼란스러운 정국에 민주당 책임도 있단 여론은 광주에서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며 “민주당에 대한 비판 집회라면 참가 의사가 있지만 비상계엄을 옹호하는 집회는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찬반 집회 간 충돌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날 집회를 앞둔 11시 40분께 옛 전남도청 별관 앞에선 대통령 지지자와 탄핵 찬성 집회 참가자들이 서로 큰 소리로 욕설을 주고받아 경찰이 중재에 나섰다.
금남로 상인 정보경 씨(39)는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며 “집회는 집회일 뿐이니 이념 갈등으로 인해 다치는 사람이 나오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찰도 만일에 사태에 대비 중이다. 경찰은 이날 집회 관리에 20여개 중대, 총 1400여명에 달하는 인원을 투입한다. 양 집회 장소 사이엔 경찰 버스 수십 대가 배치됐다. 경찰 관계자는 “평화로운 집회는 존중하지만 어떤 형태로 나타나든 불법 행위는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 김송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서울 호텔방 좁고 더러워”...일본보다 못해 악평한 나라, 어딘가 봤더니... - 매일경제
- “친정엄마들 난리났다”...올해부터 딸 산후조리 지원금 98만원 받을 수 있다는데 - 매일경제
- “우울증 때문 아니다”…이수정이 판단한 초등생 살해교사 범행 이유 - 매일경제
- 헬스에 빠진 할아버지·할머니들, 요즘 이 트레이너만 찾는다는데 - 매일경제
- 르몽드 “한국 ‘尹 실패한 쿠데타’에 무속인 개입한 건 놀랍지 않아” - 매일경제
- [단독] “60대 부모는 일하고 30대 아들은 하루 종일 집에”…기막힌 통계 보니 - 매일경제
- “尹 전격 하야하나” 보수진영 떠들썩…민주당은 “꿈도 꾸지 말라” - 매일경제
- “400점 만점에 390점”…전현무도 겸손해진 서울대 출신 여배우의 정체 - 매일경제
- ‘100원 동전’ 이순신 그린 작가 후손, 저작권 소송 2심도 한국은행에 패소 - 매일경제
- 양민혁 해냈다! 영국서 첫 선발 출전→도움 신고…QPR, 더비와 33R 홈 경기서 4-0 대승 [챔피언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