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올해만 수입산 쓸까”… 이상기후 고물가 직격탄 맞은 정월대보름 밥상

민영빈 기자 2025. 2. 11.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곡·부럼 등 10개 품목 전통시장 가격 약 14만원으로 전년 比 6.2% 올라
대형마트 오곡밥 재료 가격은 약 19만원으로 8% 상승
이상기후 탓... 소포장하거나 수입산 공급

“매년 정월대보름을 꼭 챙기는데 올해 국산 팥·찹쌀이 너무 비싸다. 체감상 지난해보다 가격이 45~50% 오른 것 같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오는 12일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오곡을 사러 온 김현숙(63)씨는 “수입산 팥은 단맛이 덜하지만 국산 팥보다 가격이 2~3배 정도 저렴해 고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씨가 사려고 한 팥은 국산일 경우 1㎏ 기준 2만5000원을 내야 했지만, 중국산은 1만2000원이었다. 그는 고민 끝에 팥 500g을 중국산으로 사고 나머지 오곡밥 재료인 찹쌀과 검정콩만 국산으로 구입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30분 망원시장에서 판매 중인 정월대보름 부럼 땅콩과 호두(왼쪽). 국산 오곡·부럼 등을 소포장해 1000원 또는 2000원에 파는 경우도 있었다(원 안의 사진). 같은 날 오후 2시 30분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내 견과류 판매장을 찾은 손님들이 땅콩과 호두 등을 사고 있다. /민영빈 기자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오곡·부럼 등의 가격이 올랐다.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오곡과 부럼 재료 등 주요 10개 품목을 전부 사면 전통시장에서 13만9700원을 써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보다 6.2% 오른 금액이다. 조사 대상은 오곡밥 재료 5개(찹쌀·수수·차조·붉은팥·검정콩)와 부럼 재료 5개(잣·밤·호두·은행·땅콩)다.

전통시장 기준 찹쌀 800g 가격은 3200원으로 전년 대비 23.1% 올랐다. 같은 기간 붉은팥 800g 가격은 1만6000원으로 45.5% 상승했다. 검정콩 720g 가격도 7500원으로 7.1% 올랐다. 부럼도 은행 600g 기준 7000원으로 16.7% 올랐다. 땅콩 400g 가격은 1만원으로 11.1% 상승했다.

마포구 월드컵시장에서 견과류를 파는 상인 최모(45)씨는 “올해 이상기후 때문에 국산 잡곡 및 호두·땅콩 등의 작황이 부진했다”며 “생산량이 줄어 가격이 치솟은 것”이라고 말했다. 최씨는 국산 땅콩 400g을 1만2000원에 팔고 있었다. 중국산 땅콩은 같은 양 기준 3000원이었다. 최씨는 “정월대보름 하루 동안 먹는 식품인 만큼 국산을 추천한다”며 소포장 된 호두와 땅콩, 잡곡류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실제로 최씨처럼 전통시장 곳곳에서는 국산 오곡·부럼 등을 소포장해 1000~5000원 가격으로 팔고 있었다. 소량이라도 국산을 찾는 소비자를 위한 것이다.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을 찾은 주부 정애란(54)씨는 “오곡밥 한 끼를 위해 국산 팥·차조·검은콩을 각각 1000~2000원에 살 수 있어 부담이 줄었다”고 했다.

지난 10일 오전 11시 45분 서울 서대문구의 한 홈플러스 매장에서는 수입산 견과류 1+1(원 플러스 원)할인 행사가 열렸다(오른쪽). 같은 날 오후 1시 40분 서울 중구의 한 롯데마트에 마련된 정월대보름 코너에는 오곡과 부럼 등이 진열돼 있었다. 같은 가격이지만 국산 땅콩은 100g, 중국산 땅콩은 450g이 각각 담겨 있었다(원 안의 사진). /민영빈 기자

대형마트는 수입산 오곡·부럼 제품 공급에 힘쓰는 모양새다. 매장 내 정월대보름 코너를 따로 구성해 국산·수입산 제품들을 매대에 진열해 놨고, 수입산 제품 중 일부는 1+1(원 플러스 원)할인 행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홈플러스는 국산 붉은팥 대신 캐나다산을 600g에 9900원에 판매했다. 롯데마트는 캐나다산(1㎏)·페루산(1.2㎏) 붉은팥을 각각 7990원에 판매했다. 이마트는 중국산 볶은 피땅콩과 미국산 피호두를 할인 행사했다.

서울 중구의 한 롯데마트를 찾은 주부 오유진(34)씨는 “결혼 후 첫 정월대보름이라서 국산 재료로 오곡밥을 짓고 싶었는데 높은 가격을 보고 카트에 바로 담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상대적으로 값이 싼 수입산 팥과 미국산 호두를 샀다”고 했다. 이날 오씨가 산 캐나다산 팥(1㎏)은 7990원이었지만, 국산 팥(500g)은 1만7990원이었다.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대형마트에서 국산 오곡·부럼 재료 등 주요 10개 품목을 구매하면 18만5220원을 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보다 8% 오른 금액이다. 대형마트 기준 오곡밥 재료 5개의 총가격은 6만2940원으로 전년 대비 16.2% 상승했다. 부럼도 호두 400g 가격은 1만4520원으로 전년 대비 3.6% 올랐고, 땅콩 400g 가격은 1만3560원으로 지난해보다 13.4% 상승했다. 은행 600g 가격도 9840원으로 지난해보다 15.2% 올랐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은행과 땅콩은 생산량이 감소했을 뿐 아니라 품목 특성상 수작업이 필수적이다. 인건비가 오른 영향도 있다”라며 “이상기후로 건나물도 가격이 10~20% 올랐다. 정월대보름 밥상 물가가 치솟은 만큼 수입산 대체품으로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도모한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