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아침에 계엄군 됐다”…전역 신청하는 특전사 수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 부사관 중 전역을 희망하는 이들의 숫자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인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국방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 내 육군 특전사 계급별 희망전역 신청 현황'에 따르면, 작년 12월 3일부터 이달 3일까지 두 달간 52명의 특전부사관이 전역을 신청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인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국방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 내 육군 특전사 계급별 희망전역 신청 현황’에 따르면, 작년 12월 3일부터 이달 3일까지 두 달간 52명의 특전부사관이 전역을 신청했다.
계급별로는 중사와 상사가 각 26명이다. 전역을 희망하는 중사 수는 전년 동기 11명보다 약 2.4배 늘었고, 상사 수는 전년 동기 6명에서 약 4.3배 증가했다. 직전년도 비교 기간(2023년 12월 3일~2024년 2월 3일)에는 전역을 신청한 특전사 중사·상사 수가 총 17명이었다.
특전사 내 중사·상사는 특전사의 현행 작전요원 중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추 계급이다. 유사시 육지·해상·공중 등 전천후 침투가 가능하며 정찰·정보수집·요인 암살 및 납치·인질구출·게릴라전 등 각종 특수전을 수행하는 최정예 대원들이다.
20년가량 특전사에서 지휘관과 참모로 근무한 뒤 최근 예편한 A대령은 “특전부사관은 고도의 작전 수행능력과 체력이 요구돼 일반 전투원 육성에 비해 2배 이상의 훈련기간과 재원이 필요하다”며 “동료 선후배들의 전역 소식은 부대 전체 사기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복무의지를 갖고 계속 근무를 희망하는 요원들에게 심리적 동요를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유용원 의원은 이와 관련, “특전부사관의 전역 러쉬 현상은 우리 특수작전수행 능력 저하로 이어져 안보 공백을 초래할 수도 있는 긴요한 문제인 만큼 군 당국의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12·3 비상계엄에 동원된 일부 특전요원들은 계엄 상황인지도 모르고 상관의 명령에 따라 동원됐을 뿐”이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특전사에 대한 우리 국민의 변함없는 애정과 응원이 절실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오늘의 운세 2025년 2월 10일 月(음력 1월 13일) - 매일경제
- [속보] 尹 “비상계엄 선포, 나라가 위기란 대통령 판단 기해 이뤄져” - 매일경제
- “몸 이상해 병원 갔다 깜짝”…50대 술집 여주인에 필로폰 넣은 술 먹인 60대 男 - 매일경제
- 삼성의 빠른 결단 통했다...갤럭시S25 산 5명중 1명 ‘이것’ 선택 - 매일경제
- 스타벅스에 빨대 말고 예쁜 녹색 막대기…근데 그거 뭐지? [그거사전] - 매일경제
- 트럼프 “아내로 충분히 골치 아픈 ‘이 남자’ 추방 안 하겠다” - 매일경제
- “신사의 나라, 이젠 은퇴자의 천국이네”…수익률 한국의 두 배로 만든 비법 - 매일경제
- “16세 한국 고등학생이 일 냈다”…무대 위 가장 높이 날아오른 이 소년 - 매일경제
- “역시 입지 좋으면 잘나가네”…부동산 혹한기에도 신고가 썼다는 이 동네 - 매일경제
- ‘논란의 중심’ 린샤오쥔, 마침내 입 열었다…“박지원 덕에 동기부여” [하얼빈AG]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