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김 "트럼프 USAID 해체는 불법"…셧다운 불사하고 저지

뉴욕(미국)=권해영 2025. 2. 10. 06: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계 첫 미국 연방상원의원인 앤디 김(뉴저지·민주) 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제개발처(USAID) 해체 추진에 더 많은 분쟁과 미군 동원을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USAID 해체를 막기 위해 연방정부 셧다운(Shut Down·일시적 업무정지)을 불사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USAID뿐 아니라 연방교육부, 연방재난관리청(FEMA) 등 해체를 추진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이를 막기 위해 연방정부 셧다운을 감수하겠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BC '밋더프레스' 출연

한국계 첫 미국 연방상원의원인 앤디 김(뉴저지·민주) 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제개발처(USAID) 해체 추진에 더 많은 분쟁과 미군 동원을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USAID 해체를 막기 위해 연방정부 셧다운(Shut Down·일시적 업무정지)을 불사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의원은 9일(현지시간) NBC 방송 '밋더프레스'에 출연해 "지난주에 트럼프 행정부가 한 일에 대해 우리가 본 건 전 세계에서 미국의 퇴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USAID 해체로 "중국은 전 세계에서 영향력 행사를 위해 싸울 필요조차 없어졌다"며 "우리는 중국을 위해 노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해외 원조를 전담하는 USAID의 방만 운영을 주장하며 직원 1만여명 중 294명만 남기고 해체할 방침이다. 다만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은 미 연방공무원노조(AFGE)와 미국외교관협회(AFSA)가 위헌 소송을 제기한 지 하루 만인 지난 7일 이 조치에 대해 일시 중단 명령을 내렸다.

김 의원은 "이는 경제 성장을 위한 다른 나라 시장 접근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매우 가시적이고 우리 국가 안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USAID뿐 아니라 연방교육부, 연방재난관리청(FEMA) 등 해체를 추진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이를 막기 위해 연방정부 셧다운을 감수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달 14일이 시한인 예산안 처리를 위해 공화당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김 의원은 "우리는 기본적으로 헌법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 무법상태를 지속하려는 노력을 지지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정부 자금을 지원했는데 그들이 이를 돌려놓고 정부를 해체하도록 하는 건 허용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