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로 먹고사는데, 19조원 날아갈 판”…한국 코앞까지 닥친 트럼프 관세 폭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수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 질문에 "나는 우리가 다른 국가들과 동등하게 대우받을 수 있는 상호교역을 강조한다. 더 많이도 더 적게도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또는 11일 회의 후 기자회견 등 형식으로 상호관세에 대해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 질문에 “나는 우리가 다른 국가들과 동등하게 대우받을 수 있는 상호교역을 강조한다. 더 많이도 더 적게도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교역(trade)’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실질적으로는 관세를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자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으로 관세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이는 추가관세를 예고했던 캐나다 멕시코 중국 유럽연합(EU) 외에 그동안 언급이 없었던 한국 등 주요 대미 무역흑자국들까지 관세전쟁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 주목된다.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한미 간에는 대부분 제품에 관세가 없지만, 트럼프 정부가 무역적자와 비관세장벽을 빌미로 관세를 매길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또는 11일 회의 후 기자회견 등 형식으로 상호관세에 대해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해결의 필요성을 표명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은 또 “북한에 대응하고 지역 평화와 번영을 수호하는 데 있어 한미일 3자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확인했다”고 적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힘을 통한 평화’를 이루겠다”면서 “그것을 위해 우리는 내가 집권 1기 때 시작한 한반도 안전과 안정 확보 노력에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 김정은과 관계를 맺을 것이다. 나는 그들과 매우 잘 지냈고, 전쟁을 막았다”면서 “나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관계는 모두에게 매우 큰 자산”이라고 주장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잘 가, 영원한 라이벌이여”...故송대관, 태진아 배웅 속 영면 - 매일경제
- “30년 아파트 널렸다”…재건축 대열 합류하며 들썩이는 ‘이 지역’ - 매일경제
- “수능 수학 킬러문항 22번 풀어봐”…챗GPT vs 딥시크, 2분 만에 갈린 승자는? - 매일경제
- “형수 많이 우시니 웃겨줘” 태진아 부탁에...송대관 성대모사·모창한 김수찬 - 매일경제
- 1158회 로또 1등 21명, 각 13.9억…‘21, 25, 27, 32, 37, 38’ - 매일경제
- “태어나 처음 삼성 편든다”...하태경 “검찰, 이재용 상고는 경제폭거” - 매일경제
- 아열대 대만 덮친 ‘북극발 한파’에...하루만에 78명 사망 - 매일경제
- “여보, 우리 이제 전세도 힘든 거야?”…소득 낮고 대출 많으면 한도 줄어 - 매일경제
- “두번 접는 폰에서 엣지까지”…갤S25 사전판매 신기록 속 신제품 줄줄이 대기 - 매일경제
- ‘하루에만 금4·은2·동3 획득!’ 하얼빈서 최강 입증한 한국 쇼트트랙, 9일에도 메달 사냥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