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학들 “한국, 조만간 0%대 성장률 찍을 수도”…암울한 전망 근거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이 산업 구조조정에 실패한다면 생산성 부진이 이어져 2050년 경제성장률이 0%대로 추락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7일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산업연구원 특별세션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대로라면 2030년부터 노동 투입의 성장 기여도가 마이너스가 될 것이므로, 경제성장률은 생산성 성장률에 의존하게 된다"며 "생산성 성장률이 1% 미만으로 부진할 경우 2050년에 0%대 경제성장률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통 제조업 구조조정 필수적
석유화학 등 실상은 지지부진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7일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산업연구원 특별세션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대로라면 2030년부터 노동 투입의 성장 기여도가 마이너스가 될 것이므로, 경제성장률은 생산성 성장률에 의존하게 된다”며 “생산성 성장률이 1% 미만으로 부진할 경우 2050년에 0%대 경제성장률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생산성 향상이 향후 경제성장률을 좌우할 핵심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방위적인 산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첨단전략산업과 플랫폼,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경쟁력을 잃은 전통 제조업에는 ‘메스’를 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중국의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 업종을 필두로 국내 산업 구조조정은 더딘 실정이다. 설비 증설에 치중하느라 고부가가치 소재로의 전환 시기를 놓쳤다는 비판이 많다.
전 교수는 “혁신과 생산 요소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생산성이 높은 신산업을 확대하고 경쟁력 낮은 산업은 구조조정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월 2200만원 받았다…‘월급 떡값 논란’ 계엄사령관 육군참모총장 - 매일경제
- [속보] 트로트 ‘4대 천왕’ 송대관 별세...향년 78세 - 매일경제
- 충주서 규모 3.1 지진…별다른 피해 없었지만 ‘재난알림’ 논란 - 매일경제
- 롯데건설, 국내 최초로 물 대신 ‘이것’으로 굳히는 시멘트 내놔 - 매일경제
- “굉음 나고 무서워서 눈물고여”…지진에 ‘뜬눈’ 밤새운 충주 주민들 - 매일경제
- “직원 연봉 1억 넘는데, 월급 8배 쐈다”…성과급 잔치 벌이는 금융맨들 - 매일경제
- “33세 회사원”... 조주빈 보다 3배 더한 ‘그놈’ 신상공개된다 - 매일경제
- “드라이버는 390야드, 7번 아이언은 240야드…매킬로이가 된 기분” - 매일경제
- [속보] 시진핑 “한중관계 안정 희망…한국인, 내정문제 해결 지혜 있어” - 매일경제
- “탬파베이 역대 최고 7번 예약”…김하성 향한 美 매체의 전망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