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당신을 기다립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겨울 들어 최강 한파가 몰려온 2025년 2월4일 서울 마포구 성산동 정의기억연대 부설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에서 '평화와 소녀, 상(像)' 특별전이 열렸다.
이번 전시는 '평화의 소녀상'(이하 소녀상)과 다양한 형태의 평화비, 창작물 등을 통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기억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돌아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주의 눈]
올겨울 들어 최강 한파가 몰려온 2025년 2월4일 서울 마포구 성산동 정의기억연대 부설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에서 ‘평화와 소녀, 상(像)’ 특별전이 열렸다. 이번 전시는 ‘평화의 소녀상’(이하 소녀상)과 다양한 형태의 평화비, 창작물 등을 통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기억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돌아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역사적 과제가 남아 있는 가운데, 2025년은 한·일 양국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의사에 반하는 ‘12·28 위안부 합의’를 체결한 지 10년째 되는 해다. 최근에는 ‘위안부’ 피해자들과 함께 30년 넘게 소녀상 앞에서 열려왔던 정기 수요시위가 극우단체의 집회 장소 선점으로 인해 장소를 바꿔 근처에서 열리고 있다. 또한 독일 베를린 미테구에 설치된 소녀상은 철거 위기에 몰리고 또 다른 도시 쾰른에서는 소녀상을 두고 지역 행정당국과 시민사회가 갈등을 빚고 있다.
3부로 구성된 전시회에는 소녀상 원작자인 김서경·김운성 작가, 김유나, 김지현, 비주류사진관, 정남준, 홍현구, 한 톨 작가가 참여했고,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이 소장한 작품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 관련 연대단체의 자료가 전시됐다.
실외 정원에는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를 최초로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 석상과 소녀상이 자리하고, 그 사이 빈 의자가 놓여 있다. “실내 전시를 다 본 관람객들이 빈자리에 앉아 ‘위안부’ 문제나 평화와 여성 인권에 대해 생각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방학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활동가는 밝혔다. 현재까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8명뿐이다. 이번 전시회는 일·월요일 빼고 5월31일까지 열린다.
사진· 글 이종근 선임기자 root2@hani.co.kr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